공유하기

닫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
    밴드
  • 네이버
    블로그

https://m.yeongnam.com/view.php?key=20241124010002958

영남일보TV

내년도 예산안 두고 여야 줄다리기 계속

2024-11-25

2024112401000722800029581
지난 22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예산결산특별위원회의 예산안 등 조정소위원회의에서 여야 위원들이 심의를 시작하기에 앞서 악수하고 있다. 연합뉴스

여야가 정부의 내년도 예산안을 두고 힘겨루기를 이어가고 있다. 정치권에 따르면 677조원 규모의 내년도 정부 예산안은 현재 기획재정위원회와 교육위원회를 제외한 15개 상임위에서 예비 심사가 끝난 상태다. 상임위에서 예비 심사를 마친 예산은 예결위에서 종합심사를 거쳐 본회의에서 의결된다.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는 예산안조정소위원회를 가동 중이다. 현재 진행 중인 예산 감액 심사를 마무리하면 증액 심사를 할 예정이다. 당초 예결위는 25일까지 예산안조정소위원회에서 예산 증·감액 심사를 마치고 29일 전체회의에서 예산안을 의결하겠다는 방침을 세웠는데 현재의 일정으로 볼 때 정해진 기한 내 마무리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여야는 상임위원회 단계에서부터 내년도 예산안을 두고 충돌을 거듭하고 있다. 특히 이번엔 야당이 삭감을 주도하고 여당이 반발하면서 야당이 단독으로 상임위에서 처리한 예산이 많다. 법제사법위원회는 야당 주도로 검찰·감사원의 특활비와 특정업무경비를 전액 삭감했고, 운영위원회는 야당 단독으로 대통령비서실과 국가안보실의 특수활동비를 전액 삭감했다. 여기에 더불어민주당은 소위 '이재명표 예산'으로 꼽히는 지역사랑상품권 예산은 2조원 증액해 행정안전위원회에서 의결했다.

이처럼 여야가 정쟁 속에서 평행선을 달리는 만큼, 올해도 예산소위 내 소위원회(소소위)를 가동하고 물밑 논의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소소위는 예결위 위원장과 여야 간사 및 기재부 고위 관계자 등 소수 인원만 참석하는 비공식 회의체다.

소소위에서도 협의가 쉽사리 이뤄지지 않으면 원내대표가 참여하는 2+2 협의체 등을 통한 예산안 심사가 이뤄질 수도 있다. 벌써부터 정치권에선 올해에도 법정 처리 시한(12월2일)을 넘기는 '지각 심사'가 재현될 거란 전망이 나온다.

서정혁기자 seo1900@yeongnam.com

기자 이미지

서정혁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정치 인기기사

영남일보TV

부동산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