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경주박물관, 월지 프로젝트 중 출토품 재조사 성과 공개
"월지가 신라 멸망 후에도 제사 공간으로 활용된 사실 밝혀져"
‘졔쥬’ 한글묵서도 발견…경주 한글문화 연구 새 단서
'용왕(龍王)'이란 묵서가 쓰인 백자가 월지에서 여러 점 출토됐다. 적어도 16세기까지 월지가 용왕과 관련한 제사 또는 의례 공간으로 활용된 것으로 보인다. <국립경주박물관 제공> |
'졔쥬', '산디' 등의 한글 묵서가 적힌 백자, 경주 지역의 한글문화를 연구하는 데 시금석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국립경주박물관 제공> |
경주 동궁과 월지 출토품 조사 중 16세기에 제작된 백자에서 '용왕(龍王)'이라고 쓰여진 묵서(墨書·먹으로 쓴 글씨)가 처음 발견됐다. 월지가 통일신라 멸망 이후에도 제사 와 의례의 공간으로 활용됐음을 보여주는 새로운 자료다. 이번 조사에서는 '졔쥬' '산디'등의 한글 묵서도 발견됐다.
11일 국립경주박물관에 따르면 '월지 프로젝트'를 진행하던 중 동궁과 월지에서 출토된 8천여점의 조선 자기편 중 130여 점에서 묵서가 발견됐다. 경주박물관은 1975~76년 발굴한 경주 동궁과 월지 출토품을 재정리해 종합 연구하는 '월지 프로젝트'를 지난해부터 진행하고 있다.
발견된 묵서는 대체로 백자 굽 안에 남겨져 있었다. 묵서의 내용은 '용왕'을 비롯해 '기계요'(杞溪窯) '기'(器) '개석'(介石)'십'(十) 등이다. '졔쥬''산디' 등 한글도 확인됐다. 이중 박물관측이 가장 주목하는 묵서는 '용왕'이다. 이는 월지에서 용왕 제사가 16세기까지 이어졌음을 시사한다.
실제 '삼국사기'(三國史記)에는 '용왕전'(龍王典)이라는 기록이 있는데, 월지에서 용왕 제사를 지낼 때 이를 관장하던 관부로 보는 견해가 일반적이다. 국립경주박물관은 "'용왕'이란 묵서가 쓰인 16세기 백자가 월지에서 여러 점 출토됨으로써 적어도 16세기까지는 월지가 용왕과 관련한 제사 또는 의례 공간으로 활용됐음이 분명해졌다"고 밝혔다.
경주에서 조선 전기 한글 관련 자료가 보고된 적이 드물다는 점에서 이번에 발견된 '졔쥬', '산디' 등의 한글 묵서도 주목받고 있다. '졔쥬'는 제사 주관자를 뜻한다. 월지의 의례적 기능을 뒷받침하는 대목이다.
'왕(王)', '십(十)', '기계요(杞溪窯)', '부호(#)' 등 다양한 묵서가 쓰여진 자기편. <국립경주박물관 제공> |
월지 주변 건물에 사용된 금속 장식에서 '내간(內干)'이란 명문과 금동판에서 '의일사지(義壹舍知)'라는 명문이 확인됐다. <국립경주박물관 제공> |
이밖에 '기계요(杞溪窯)'는 조선 전기 경주부 기계현(현 포항시 기계면)에서 제작된 자기임을 나타낸다. 당시 자기 생산과 유통망 연구에도 중요한 단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십(十)' '개석(介石)' 은 백자의 소유자나 특정 사용 목적을 나타낸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금속 유물 분석에서도 괄목할 만한 성과가 나왔다. 월지 주변 건물에서 사용된 금속 장식에서 '내간(內干)' 명문이 발견됐다. 이는 신라 왕실 관료를 지칭하는 것으로 보인다. 처마 장식으로 추정되는 금동판에서는 '의일사지(義壹舍知)'라는 명문이 확인됐다. 이는 월지 건축에 관여한 관리의 이름으로 추정된다.
국립경주박물관은 "이번 성과는 월지의 역사적 성격 변화와 16세기 경주 지역 한글문화 연구에 새 지평을 열 것"이라며 "내년 월지관 재개관시 상설전시를 통해 연구 결과를 공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장성재기자 blowpaper@yeongnam.com
장성재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