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K 친윤계 일각서 탄핵 찬성파 축출 목소리 나와
친한 "쫓아내기 위한 시도 아니었나?" 반발
갈등 격화하면서 분열 자성 목소리도
![]() |
국민의힘 권성동 원내대표가 16일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
![]() |
16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당 대표 사퇴 기자회견을 한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가 국회를 나서고 있다. 연합뉴스 |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 가결을 두고 여당 내 '책임 공방'이 가열 양상을 보이고 있다. 한동훈 전 대표가 '탄핵 찬성' 입장을 밝힌 것을 고리로, 당내 친윤(친윤석열)계와 대구경북(TK) 정치권 등에서 친한(친한동훈)계에 십자포화를 퍼부었다.
한 전 대표가 16일 사퇴했지만 그를 향한 비판은 지속됐다. 유영하(대구 달서구갑)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 한 전 대표를 향해 "결국 숨길 수 없었던 그 가벼움이 자신도 망치고, 당도 힘들게 하고, 나라도 어지럽게 했다"며 "그에게는 정치 미래가 없다고 본다"고 비판했다. 홍준표 대구시장도 페이스북에서 "조속히 당 정비부터 하자"며 탄핵 찬성 입장을 밝힌 비례대표·지역구 국회의원들에게 '당원권 정지'라는 중징계를 내려야 한다고 촉구했다. 권영진 의원(대구 달서구병) 역시 탄핵 직후 "탄핵에 앞장선 배신자 한동훈은 더 이상 우리 당의 대표로서 자격이 없다"고 언급한 바 있다.
반면, 친한계는 탄핵안 가결을 빌미로 '한동훈 끌어내리기'를 기획했던 것 아니냐며 맞서는 상황이다. 친한계 신지호 전 전략기획부총장은 이날 라디오 인터뷰에서 권성동 원내대표가 '탄핵 반대' 당론을 유지한 것을 두고 "한동훈 대표를 축출하기 위한 카드"라며 "모든 책임을 한동훈에게 뒤집어씌우자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종혁 전 최고위원 역시 라디오에서 친윤계를 겨냥해 "결과적으로 그걸(탄핵안 가결) 계기로 본인들(친윤계)이 한 대표를 쫓아내려고 하는 시도를 한 것 아니냐"고 비판했다.
이처럼 계파 갈등이 극에 달하자 여권에서는 내부 분열을 우려하며 화합을 주문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탄핵 반대' 입장을 밝혔던 윤상현 의원은 페이스북에 "우리가 윤석열 대통령을 지울 수 없듯이, 찬탄(탄핵 찬성) 의원들 역시 우리 가슴에서 지울 수 없는 동지들"이라고 적었다. 유승민 전 의원도 라디오에서 "지금 분열하면 우리 당은 끝장"이라며 "이대로 가다 가는 당이 정말 탄핵의 늪에 빠지게 된다"고 우려했다. 오세훈 서울시장도 "지금은 편 가르기를 할 때가 아니다"며 "탄핵안에 찬성했든 반대했든, 이를 두고 부역자나 출당을 운운하며 비판하는 것은 어지러운 시국에 상황을 더욱 악화시킬 뿐"이라고 화합을 강조했다.
정재훈기자 jjhoon@yeongnam.com

정재훈
서울본부 선임기자 정재훈입니다. 대통령실과 국회 여당을 출입하고 있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