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연평균기온 14.5℃ 로 역대 가장 높아
작년 9월 평균기온 평년보다 4℃ 높았던 영향 커
전문가 "최근 한파도 작년 더웠던 이유와 같아"
대구지역에 열대야가 나타난 밤, 대구 달서구 코오롱야외음악당을 찾은 시민들이 야외에서 더위를 식히고 있다. 영남일보DB. |
지역별 연 평균기온 최고 순위. <대구지방기상청 제공> |
2024년 고온 관련 주요 기후인자 영향 모식도. <대구지방기상청 제공> |
지난해 대구경북 연평균기온이 1973년 관측 이래 가장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기상 전문가들은 작년 더웠던 원인과 최근 한파가 나타난 원인이 같다며 기후 위기가 현실화했다고 경고했다.
10일 대구지방기상청이 발표한 '대구경북 2024년 연 기후 분석'을 보면 지난해 대구경북 연평균기온은 14.5℃로 기록됐다. 평년(1991~2020년) 평균인 12.6℃보다 1.9℃ 높았고, 종전 1위였던 2023년(13.7℃)보다도 0.8℃ 높아 역대 기록을 모두 갈아치웠다.
지역별로는 포항이 16.2℃로 가장 높았고, 대구(15.8℃), 경주(15.3℃), 영천·울릉도(14.7℃) 순이었다. 가장 낮은 곳은 봉화(12.8℃)다.
기온이 높게 나타난 건 지난해 9월 유례없이 발생한 '늦더위' 영향이 크다. 대구경북 9월 평균 기온은 24.1℃로, 평년 대비 무려 4℃나 높았다. 이에 더해 8월, 2월, 4월 등도 평년보다 2.5℃ 이상 각각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열대야(밤 최저기온이 25℃ 이상인 날)도 유례없이 9월까지 이어지며 역대 가장 많은 일수를 기록했다. 지난해 대구경북 지역에 나타난 열대야는 평균 15.9일로, 평년(5.5일) 대비 약 3배 가까이 발생했다.
높은 기온과 열대야의 원인으로 기상청은 유례없이 높았던 우리나라 주변 해수면 온도를 꼽았다. 지구 온난화와 라니냐 현상이 겹치며 뜨거워진 바다의 영향으로 남풍 계열 바람이 불 때마다 고온다습한 공기가 우리나라에 유입된 것이다. 지난해 우리나라 해역 해수면 온도는 18.6℃로 최근 10년 중 가장 높았다.
이에 더해 북인도양의 높은 해수면 온도도 인도 부근 대류 활동을 촉진해 우리나라 부근 고기압성 흐름을 강화했다. 우리나라는 고기압권에 들면 맑은 날이 많고, 남풍 계열 바람이 불어 기온이 상승한다.
기상 전문가들은 최근 우리나라에 나타난 한파·폭설 등의 원인도 지난해 기온이 높았던 원인과 다르지 않다고 분석했다. 10일 대구경북에선 아침 최저기온이 영하 18.1℃에 달하는 매서운 한파가 몰아쳤다.
김해동 계명대 교수(환경공학과)는 "최근 우리나라에 나타난 한파도 인도양 부근 높은 해수면 온도가 북극권의 고기압을 확장하면서 나타난 결과다. 한마디로 높은 해수면 온도가 여름철과 겨울철 재해 강도를 모두 높인 것"이라며 "이러한 현상은 기후 위기가 우리 일상에 현실화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고 설명했다.
박영민기자 ympark@yeongnam.com
박영민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