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홈피서 전공안내서 확인
최근 2~3년 입시결과 참고해야
커리어넷서 직업검사 등 활용
![]() |
새해를 맞아 새로운 계획을 세우고 있지만, 많은 학생이 자신의 적성과 흥미를 명확히 알지 못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특히 진로와 전공 선택에 대한 고민은 시간이 갈수록 커지는 경향이 있다.
◆관심 분야 및 선택 과목 결정
진로 탐색의 첫 번째는 나의 관심사와 잘하는 것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후 희망하고자 하는 전공에 대해 탐색하는 것이 중요하다. 관련 정보는 대학 입학처 홈페이지에서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친절한 대학은 학과 커리큘럼과 진출 분야 등에 대한 정보를 담은 전공 안내서를 제공한다. 만약 희망하는 대학의 전공 안내서가 없다면 대학 홈페이지(입학처)의 '학과 소개' 탭을 확인해 보자. 전공 안내서와 비슷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미리 전공에 대해 탐색한다면 선택 교과를 중요시하는 현재의 교육과정에서 어떤 과목을 선택해 이수해야 하는 것이 좋을지, 나아가 학교 활동을 어떻게 할지 등을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입시 결과 확인
입시 결과는 대학교 입학처 홈페이지 '입시 결과(전년도 입학성적) 또는 대입정보포털 어디가 대학별 입시정보' 전형 평가 기준 및 전년도 결과공개에서 확인 가능하다. 입시 결과는 매년 달라지기 때문에 최근 2~3년 결과를 참고하는 것이 좋다. 입시 결과를 보면, 최종 등록자 중 70% 인원의 학생부 평균 등급을 전체 선발 인원이 10명이라고 했을 때 7등의 성적을 의미한다. 최종 등록자는 각 학과에 최종 등록한 학생으로 최초합격자와 충원 인원을 모두 포함한 인원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어느 대학 또는 무슨 전공으로 갈지 정했다면 입시 결과를 확인해 보는 것이 좋다. 입시 결과는 대학교 입학처 홈페이지에서 입시 결과(전년도 입학성적) 또는 대입정보포털 '대학별 입시정보' 전형 평가 기준 및 전년도 결과공개에서 확인 가능하다. 입시 결과는 매년 달라지기 때문에 최근 2~3년 결과를 참고하는 것이 좋다.
결과를 볼 때 주의해야 할 점은 합격선 안에 든다고 해서 합격을 확신할 수 있는 것도 아니라는 것이다. 특히 학생부종합전형은 교과 성적 외에 비교과 등 학교생활기록부 내용 전체가 종합적으로 평가에 반영되는 정성평가 전형이다.
◆진로 심리검사 활용
여전히 고민이 해결되지 않았다면, 진로 정보망 커리어넷을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커리어넷은 교육부에서 제공하는 진로 정보망으로 사이트에 들어가면 진로 심리검사, 진로 상담, 직업/학과 정보, 진로 영상 등 다양한 자료를 볼 수 있다. 특히 진로 심리검사(중·고등학생용)는 무료로 할 수 있다. 직업적성검사, 진로성숙도검사, 직업흥미검사(K), 직업흥미검사(H), 진로개발역량검사 총 6가지 검사로 나뉘어 있다. 한 검사당 약 20분 정도로 하루에 다 해도 2시간 정도 소요돼 큰 부담이 없다. 겨울방학 때 다양한 검사를 통해 스스로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자.
김종윤기자 bell08@yeongnam.com
도움말=이투스 교육평가연구소

김종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