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8억 달러 투자, 2029년 상업 생산 목표
자동차강판 특화 제품 공급…글로벌 완성차 시장 공략

현대제철 ci.
현대제철이 미국에 자동차강판 특화 전기로 제철소를 건설한다. 이는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가 철강제품에 대한 25% 관세를 부과하는 정책 기조 속에서 나온 투자로 해석된다.
현대제철은 2029년 상업 생산을 목표로 미국 루이지애나주에 전기로 제철소를 설립할 계획이라고 25일 밝혔다. 신규 전기로 제철소는 총 58억달러가 투자되며, 원료부터 제품까지 일관 공정을 갖춘 미국 최초의 전기로 일관(一貫) 제철소로, 고로 대비 탄소 배출량을 줄이면서 고품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루이지애나주에 전기로는 자동차강판 특화 제철소로, 직접환원철(DRI; Direct Reduced Iron)을 생산하는 원료 생산 설비(DRP·직접환원철 원료 설비)와 전기로, 열연 및 냉연강판 생산 설비로 구성된다. 연간 270만t의 생산 규모를 갖출 예정이다. 특히 미국 내 현대차 앨라배마 공장과 기아 조지아 공장, 신규로 가동되는 HMGMA(Hyundai Motor Group Metaplant America)와도 인접해 있어 물류비 절감과 안정적인 공급체계 구축이 가능하다.
현대제철의 이번 투자는 미국 철강 관세 정책에 대응하고,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기 위한 전략적 결정으로 평가된다. 트럼프 2기 정부가 철강·알루미늄에 25% 관세를 부과하기로 하면서 현대제철은 높은 무역장벽과 마주하고 있다. 최대 해외 시장인 미국 시장 사업을 안정적으로 꾸려가기 위해서는 자동차 생산의 필수재인 철강 제품 공급망부터 현지화가 필요하다는 전략이 깔린 것으로 보인다. 국내에서 생산한 강판을 미국 현지 공장으로 보내 자동차를 생산하려면 25%의 철강 관세가 부과되지만, 현지 제철소에서 직접 강판을 생산하면 관세 부담을 피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번 전기로 제철소 신설로 현대차그룹 및 글로벌 완성차 메이커에 최적화된 자동차강판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북미 시장 내 자동차강판 수요를 선점하고, 안정적인 공급망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나아가 멕시코, 브라질 등 중남미 지역을 비롯해 유럽 현지 글로벌 완성차 업체까지 공략한다는 방침이다.
현대제철 관계자는 “글로벌 생산 거점을 구축해 미래성장 기반을 확보하고 지속 성장이 가능한 철강사의 방향성을 확고히 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김기태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