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구시청 산격청사 전경. 대구시 제공
조기 대선 정국은 대구시 행정체제에도 크고 작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홍준표 대구시장이 시장직을 던지고 조기 대선에 나서게 되면, 대구시는 역대 처음으로 '시장의 대선 출마로 인한 권한대행 체제' 상황을 맞게 된다.
대구시는 직무상 공백을 최소화하고, 그 책임을 명백히 하기 위해 단체장 직무대리에 관한 사항을 규칙으로 정하고 있다.
대구시 직무대리 규칙에는 “대구시장이 직무를 담당할 수 없을 때에는 행정부시장·경제부시장 순으로 직무를 대리하고, 또 부시장이 부재 시에는 직제상 실·국의 순위에 의한 실·국장이 대리한다"고 명시돼 있다.
홍 시장이 대선에 뛰어들면 한동안 대구시는 김정기 행정부시장의 시장 권한대행 체제로 운영될 예정이다. 지난 1월 취임한 김 부시장은 대구시 근무 경험이 있고, 시정 현안에 밝다는 평가를 받는다. 중앙정부 인맥도 두터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홍 시장이 대권 도전을 위해 사퇴하면 정장수 경제부시장을 포함한 별정직 공무원 10여 명이 모두 동반 퇴직하게 되면서, 후속 인선 등도 이뤄질 전망이다.
시 내부에선 이 같은 상황을 대비한 차기 경제부시장 인선 준비 등 물밑 작업을 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홍 시장은 “정국 혼란 속에서도 지난해 말부터 흔들림 없는 대구시정을 강조해 왔고, 대구시 업무에 정통한 행정부시장 임명, 행정체계 개편 등 철저한 대비를 해왔다"고 밝힌 바 있다.
대구시 차기 경제부시장으로는 대구시 2급 간부인 홍성주 재난안전실장이 사실상 내정이 됐다. 차기 경제부시장에 대한 신원조회 절차는 빠르면 다음주중 마무리될 것으로 보인다. 대구시 간부직의 연쇄 인사 변동도 속도감있게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대구지역 관가 한 관계자는 “정국의 변수 속 만약 홍 시장이 조기 대선에 나서야 할 상황이 생길 경우, 시정에 혼란이 생기지 않도록 대구시가 미리 대비를 해온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노진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