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시경제·금융현안 간담회 주재…국가총부채 비율 7년만 감소 전환

최상목 경제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기재부 제공.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11일 “미국 정부의 상호관세 90일 유예 조치에도 불구하고 미·중 관세분쟁 심화, 품목별 관세 지속 등 불확실성이 여전하다"고 밝혔다.
최상목 부총리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거시경제·금융현안 간담회(F4)'를 주재하고 “관계기관이 각별한 경각심을 가지고 상황별 대응계획을 점검·준비하고, 주식·국채·외환· 자금 등 시장별 모니터링을 강화하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김병환 금융위원장,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배석했다. 기재부에 따르면 참석자들은 “가계부채의 안정적인 관리 등으로 국가 총부채 비율이 7년 만에 감소 전환한 것은 의미 있는 성과"라며 “한국 경제의 지속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해 앞으로도 잠재적인 리스크에 대한 철저한 관리와 대응 노력이 지속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재부에 따르면 국내총생산(GDP) 대비 국가총부채(가계·기업·정부의 부채 총합) 비율은 △2017년 206.7%△2018년 211.9%△2019년 222.2%△2020년 242.7%△2021년 248.2%△2022년 250.4%△2023년 250.5%으로 지속 상승하다 지난해 244.5%로 7년 만에 감소 전환했다.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 역시 △2019년 89.6%△ 2020년 97.1%△ 2021년 98.7%로 상승곡선을 그리다 2022년 97.3% 감소세로 돌아선 후△ 2023년 93.6%△ 2024년 90.1%로 3년 연속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구경모
정부세종청사 출입하고 있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