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 정부 글로컬대학·RISE사업
인구소멸 지역과 대학 '공존'
10개 대학 경산시 비용 '부담'
경산동물치유센터 일방 취소
지역 상생 외면 유감스러운 일
![]() |
박성우 동부지역본부 차장 |
이러한 위기의 지방대학을 살리기 위해 현 정부에서 추진 중인 '글로컬대학 30' 프로젝트와 'RISE'(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사업은 인구 소멸위기의 지역과 생존 위기의 대학이 공존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경산시도 2024년 1월 초 조직개편을 통해 최초로 '대학팀'을 신설해 지역 대학과 협력과 지원을 통한 상생 전략 수립에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글로컬대학이나 라이즈사업은 대학지원의 주체가 교육부에서 지방자치단체로 무게중심이 옮겨졌다. 즉 지방자치단체가 대학을 살리기 위해 그 비용을 부담하라는 것이다.
이러한 교육정책의 변화로 경산시는 난감할 수밖에 없는 입장이다. 1~2개 대학도 아니고 10개 대학이 밀집한 경산시 입장에서 비용 분담은 큰 부담이 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지역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지역과 대학의 동반성장을 위해 올해부터 시작된 라이즈사업은 5년간 200억~500억원 규모의 사업비를 지원한다. 지역 대학도 대학별로 4~6개 사업 총 38개 사업이 최종 선정됐다. 이중 5개 대학의 14개 사업은 경산시가 시비로 부담해야 한다. 2029년까지 4년간 총 33억6천만원 규모다.
또 지방대학 30개를 선정해 교육부에서 5년간 1천억원을 지원하는 2023년부터 도입된 글로컬대학 30사업도, 치열한 경쟁을 뚫고 2024년 2차에 지역에서 유일하게 선정된 대구한의대(K-MEDI사업)에도 향후 10년간 1천억원을 시비로 지원해야 된다.
대학의 입장에서는 생존의 사활이 걸린 이 사업의 마지막 막차를 타기 위해 올해 지역 3~4개대학에서 도전장을 내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경산시가 앞으로 짊어져야 할 비용도 더 늘어날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지역과 대학을 따로 놓고 볼 수는 없지만 그래도 경산 시민들에게 써야 할 소중한 예산이 이들 대학을 살리기 위해 사용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를 의식해 경산시도 글로컬대학에 선정된 대구한의대와 지난해 말 장학금지원및 기부, 대학시설 및 부지제공, 대학시설이용료감면, 프로그램 또는 강좌개설, 화장품특화단지 활성화 등 지역과 대학 간 실질적인 상생협력을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
이런 상황에서 최근 발생한 지역 한 대학이 경산시 동물복지 치유센터 건립사업을 일방적으로 취소한 일은 유감스러운 일이다. 해당 대학은 기피·혐오시설로 인해 학습권 방해와 유기견으로 인한 안전사고 위험 등을 취소 사유로 내세웠다. 대학을 개인의 소유물로 인식하는 재단 측의 강한 반대가 그 배경이란 설도 나왔다. 한 사례에 불과할 수 있지만 경산시민들은 지역과의 상생을 외면하는 대학에 시민의 혈세를 지원하는 것을 곱게 볼 일은 만무하다. 지역 대학이 지역과 상생에 대한 진정한 의지를 갖고 있는지 묻고 싶어진다.
박성우 동부지역본부 차장

박성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