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5월 복귀 시 수련 인정 검토”…전공의들 조건부 응답 다수
수련병원협의회·의학회 설문 결과, 정부에 공식 전달
전문의 시험 응시 기한 임박…“5월 넘기면 자격 상실”

전공의(인턴·레지던트)들의 복귀 의사를 묻는 설문조사 결과가 14일 보건복지부에 전달되면서, 의료계가 '5월 전공의 추가 모집'을 정부에 공식 건의할 채비에 나섰다. 지난해 2월 단체행동으로 병원을 떠난 전공의 중 최소 수백 명이 복귀 의사를 밝힌 것으로 확인되면서다.
대한수련병원협의회는 최근 전공의 대상 설문조사를 마치고 이날 복지부에 결과를 공유했다. 조사는 지난 7일 복지부가 “수련병원을 떠난 전공의들의 복귀 의사가 있다면 5월 중 복귀 방안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밝힌 뒤 실시됐다. 응답자 중 절반은 '조건부 복귀'를 희망했고, 조건 없이 즉시 복귀하겠다는 전공의는 10% 미만에 그쳤다. 조건으로는 '입대한 전공의의 제대 후 복귀 보장', '5월 복귀 시 수련 인정', '필수의료 정책 재논의' 등이 거론됐다.
대한의학회가 별도로 진행한 설문에서도 약 300명의 전공의가 복귀 의사를 표시했다. 중복 인원을 제외한 최종 수치는 공식 발표를 통해 공개될 예정이지만, 복귀 희망자는 최소 수백명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의료계는 이로써 정부에 '5월 추가 모집'을 요청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했다고 본다. 이진우 대한의학회 회장은 “의학회를 비롯한 여러 단체가 정부에 건의하는 방향으로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한 의료계 관계자는 “정부가 전공의 복귀에 대해 '전원 복귀'를 전제로 하지 않은 것은 유연성을 시사한 것"이라며 “현 상황에서는 정부보다 대한의사협회 등 내부 단체가 걸림돌이 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의협은 여전히 신중한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의협 관계자는 “정부 조치에 공식적으로 반대한 적은 없다"면서도 “복귀 의사가 확인된 전공의 수가 100명 안팎이라면 별도 지지 입장을 내긴 어렵다"고 말했다. 다만 “설문에서 의미 있는 숫자가 나올 경우, 의협이 먼저 추가 모집을 요구할 수도 있다"고 여지를 남겼다.
전공의들의 복귀 시점은 전문의 시험 자격과도 직결된다. 현행 규정상 수련 공백이 3개월을 넘기면 다음 해 2월 전문의 시험 응시가 불가능하다. 올해 수련이 3월에 시작된 만큼, 5월 내 복귀하지 않으면 일부 전공의는 시험 자격을 상실하게 된다.
복귀 여부가 향후 수련제도 개편과 의료 공백 해소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여, 정부와 의료계의 입장 조율이 시급한 상황이다.

강승규
의료와 달성군을 맡고 있습니다. 정확하고 깊게 전달 하겠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