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자는 협업 역량 키우고
기업은 자동화 이익 나누고
정부는 지원 체계 설계해야
기술보다 먼저 살펴야 할 건
결국 사람과 지역의 미래다
![]() |
김세현 기술보증기금 대경본부장 |
AI는 이미 플랫폼 분야뿐만 아니라 산업의 판을 바꾸고 있다. 자동화는 노동시간을 줄이고, 알고리즘은 전문가의 판단까지 대체하고 있다. 문제는 기술의 속도에 비해 사회의 준비가 너무 더디다는 점이다. 노동시간은 줄었지만, 일자리는 줄고, 불안은 커지고 있다. 기술의 진보로 줄어든 시간이 삶의 여유가 아닌 일자리 상실로 이어지는 경우도 많다.
대구·경북 지역 역시 변화의 한복판에 있다. 제조업 기반의 산업 현장에서는 자동화 설비가 확산되며 단순공정 직무가 빠르게 줄고 있다. 일부 금형업체는 AI 기반 설계시스템을 도입했고, 생산성은 향상되었지만 그만큼 노동구조도 바뀌고 있다. 기술은 남았지만, 사람은 줄었다. 이러한 흐름은 단지 기술의 문제가 아니라, 지역 불균형과 소멸 위험으로도 이어질 수 있다. AI가 일자리를 줄이고 삶터를 위협한다면, 청년은 수도권으로 떠날 수밖에 없다. 결국, 기술보다 먼저 준비해야 할 것은 사람과 지역의 미래다. 그렇다면 이 거대한 전환 앞에서 우리는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가?
먼저 노동자는 변화를 두려워만 해서는 안 된다. 반복 업무는 줄겠지만, 사람만이 할 수 있는 고유한 능력은 오히려 더 주목받게 된다. 감성적 해석, 복합적 의사결정, 협업 역량은 AI가 쉽게 넘볼 수 없는 영역이다. 동시에 디지털 기초 역량과 새로운 도구에 대한 이해는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의 조건이다. 노동자는 이제 한 직무의 전문가가 아닌, 기술을 이해하고 함께 활용할 줄 아는 '적응형 전문성'을 갖춰야 한다.
기업은 효율과 고용의 균형을 고민해야 한다. AI 도입은 생산성을 높이지만, 그 이익을 독점해서는 안 된다. 자동화로 줄인 인건비 일부를 성과급이나 인센티브로 환원하고, 해고 대신 직무전환과 재설계를 고민해야 한다. 또한 지역 대학과 연계한 '리스킬링 허브'를 구축해 미래 직무 전환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효율은 기업이 만들 수 있지만, 지속가능성은 사람과 함께할 때 가능하다. 정부는 AI 전환의 혜택을 지역에 재분배해야 한다. 재택·원격 기반의 디지털 노마드형 일자리를 지역으로 유도하고, 문화·돌봄·자연 기반의 여유 있는 삶이 가능하도록 지원해야 한다. 기술도입 기업에는 고용유지 인센티브를, 노동자에게는 전환 직종 교육과 소득보전 프로그램이 함께 마련되어야 한다.
기술은 공평할 수 있지만, 그 결과는 그렇지 않을 수 있다. 수도권에선 AI가 시간을 줄여주고, 지방에선 일자리를 빼앗는다. 기술은 삶의 도구다. 그것을 어떻게 쓰느냐는 우리의 선택이다. 효율을 넘어 포용의 기술로, 대체가 아닌 협업의 도구로 만들기 위해선 각자의 준비가 필요하다. 노동자는 배우고, 기업은 나누며, 정부는 설계해야 한다. "AI가 바꾼 세상에서, 우리는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가?" 이 질문에 진심으로 답할 때, 변화는 위협이 아닌 기회가 된다.
김세현 기술보증기금 대경본부장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