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닫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
    밴드
  • 네이버
    블로그

https://m.yeongnam.com/view.php?key=20250724024425433

영남일보TV

노곡동 침수사고 원인 놓고 대구시·북구청 ‘네탓’ 공방

2025-07-24 21:36

5t 부유물 두고도 의견 차 극명

17일 오후 대구 북구 노곡동에서 갑작스러운 폭우로 도로가 침수되자 경북119구조대 대원들이 고무보트를 이용해 수색 및 구조 작업을 벌이고 있다. 이현덕기자 lhd@yeongnam.com

17일 오후 대구 북구 노곡동에서 갑작스러운 폭우로 도로가 침수되자 경북119구조대 대원들이 고무보트를 이용해 수색 및 구조 작업을 벌이고 있다. 이현덕기자 lhd@yeongnam.com

최근 대구 북구 노곡동에서 발생한 침수사고를 두고 대구시와 북구청 간 책임공방이 벌어지고 있다. 자칫 지자체가 '네탓 공방'만 하다 비슷한 사고가 반복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온다. 24일 영남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이번 침수사고의 원인 등을 두고 대구시와 북구청은 "아직 조사가 진행 중"이라며 말을 아끼고 있다. 다만 양측이 내세우는 주장을 모아놓고 보면, 이번 사고에 대해 서로가 다른 분석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우선 노곡 빗물펌프장을 관리하는 대구시는 매뉴얼보다 더 선제적 대응을 했다는 입장이다. 그러면서 고지배수터널을 관리하는 북구청의 대응에 다소 문제가 있었다는 의혹을 제기한다. 대구시 측은 "당시 집중호우 상황과 부유물 발생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해 펌프장에서 선제적으로 제진기를 가동했다"며 "고지배수터널 측에 수문을 닫으라고 연락했는데, 대응이 좀 늦었던 게 아닌가 싶다"고 말했다.


반면 북구청은 적절한 대응을 했다면서 대구시의 빗물펌프장 운영에 문제가 있었던 탓에 침수사고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봤다. 북구청 측은 "고지배수터널은 금호강 수위 기준에 따라 수문을 닫았다. 그런데 빗물이 금호강으로 빠져나가는 직관로 수문에 문제가 생기면서 침수사고가 난 것 같다"고 주장했다.


영남일보의 최초 보도로 침수사고의 인재(人災) 가능성을 세상에 알린 '제진기 미작동' 원인을 두고도 대구시와 북구청의 의견은 갈린다. 제진기 가동을 중지시킨 무려 5t(추정)에 달하는 부유물과 관련해 대구시는 북구청 쪽의, 북구청은 대구시 쪽의 책임이 더 크다는 입장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당시 제진기를 중단시킨 방대한 양의 쓰레기와 부유물은 상당수 고지대에서 내려온 것으로 보인다"며 "제진기가 감당할 수 없는 양의 빗물이 고지배수터널 수문을 통해 내려오면서 제진기에 부유물이 그렇게 쌓였고 가동이 중단된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반해 북구청 관계자는 "침수 당일 제진기에서 발견된 부유물이 모두 그날 하루에 쌓인 게 맞는지 면밀히 확인해 봐야 한다. 직관로 수문이 정상적으로 운영됐을 경우, 제진기 쪽으로 부유물이 흘러가지 않았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대구시는 지난 22일부터 침수사고 조사를 본격화됐으며, 배수시설은 물론 지자체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 중이다. 대구시는 사고원인 조사와 분석 등을 거쳐 개선 대책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기자 이미지

노진실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 인기기사

영남일보TV

부동산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