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닫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
    밴드
  • 네이버
    블로그

https://m.yeongnam.com/view.php?key=20250807021528096

영남일보TV

김성환 환경부장관, 봉화 영풍석포제련소 이전 논의에 신중한 시그널…“이해관계자 의견 종합 반영”

2025-08-07 14:25

환경부 장관, 낙동강 최상류 석포제련소 현장 방문…환경안전 설비 점검
제련소 존치 여부 둘러싼 찬반 격화…지역 주민·환경단체 입장 충돌
석포제련소 이전 TF에 영풍 측 참여 중…“정부, 독단적 결정은 없다”
장관, 대구·경북 수계 환경현장 연쇄 방문…낙동강 정책 전반 점검

7일 경북 봉화 영풍석포제련소 제3공장 지하수 오염 정화 시설 현장을 방문한 김성환 환경부장관(가운데)이 관계자들과 함께 현장을 살펴보고 있다. <낙동강상류환경피해주민대책위원회 제공>

7일 경북 봉화 영풍석포제련소 제3공장 지하수 오염 정화 시설 현장을 방문한 김성환 환경부장관(가운데)이 관계자들과 함께 현장을 살펴보고 있다. <낙동강상류환경피해주민대책위원회 제공>

김성환 환경부장관이 7일 경북 봉화군 석포면에 위치한 영풍석포제련소를 방문해 사업장 이전 논의에 대한 정부의 신중한 입장을 밝혔다.


김 장관은 이날 석포제련소의 현황을 보고 받고, 이어 제1공장의 무방류 시스템과 제3공장의 지하수 오염 정화 시설 등 주요 환경설비를 둘러보며 현장 점검을 진행했다. 이 자리에서 이전 논의의 구체적인 추진 상황을 질의했고, 제련소 측은 "경상북도 이전 TF에 참여 중이며, 지자체 및 관계 부처와 협의 중에 있다"고 밝혔다.


이날 현장에서 김 장관은 "석포제련소의 근본적인 문제 해결 방안으로 제기되는 사업장 이전은 단순히 정부 결정에 의존할 수 없는 사안이며, 주민·기업·지자체·환경단체 등 이해관계자의 의견을 수렴해 종합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장관의 이 같은 발언은 향후 정부 차원의 구조적 변화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해석된다. 또 김 장관의 제련소 방문을 계기로, 제련소 존치 여부에 대한 찬반 양측의 입장이 다시 한 번 격돌했다.


7일 경북 봉화 영풍석포제련소 회의실에서 김성환 환경부장관(오른쪽 두번째)이 제련소 관계자들과 환경설비 운영 현황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낙동강상류환경피해주민대책위원회 제공>

7일 경북 봉화 영풍석포제련소 회의실에서 김성환 환경부장관(오른쪽 두번째)이 제련소 관계자들과 환경설비 운영 현황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낙동강상류환경피해주민대책위원회 제공>

낙동강상류환경피해주민대책위원회는 "지난 50년간 대한민국 낙동강을 병들게 한 석포제련소는 더 이상 존치돼서는 안 될 심각한 환경위험 시설"이라며 "즉각적인 가동 중단과 폐쇄·이전·복원 등의 종합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석포 주민들로 구성된 석포현안대책위원회는 "지역 생존권과 직결된 제련소 이전·폐쇄는 수용할 수 없다"며 "제련소는 수차례 환경개선을 거쳐 최신 설비로 업그레이드됐고, 현재는 오염물질 배출이 법적 기준을 크게 밑도는 수준"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현장도 보지 않고 과거 데이터만 근거로 지역 현실을 무시한 주장은 부당하다"고 덧붙였다.


한편, 김 장관은 이날 오전 봉화 영풍석포제련소를 점검한 뒤, 대구·경북 지역의 낙동강 취수원 다변화 사업지와 녹조 대응 현장 등을 순차적으로 방문했는데, 오후에는 구미·강정고령보 등을 차례로 둘러보며 현장 보고를 받고, 낙동강 수계 환경 현안을 종합적으로 점검했다.



기자 이미지

황준오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 인기기사

영남일보TV

부동산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