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렵사리 성사되는 듯했던 경북 김천의 감천댐 건설 사업이 오리무중이다. 지난달 임명된 김성환 환경부 장관은 인사청문회 당시 "신규 댐 건설은 지역 내 찬반 논란과 함께 홍수·가뭄 예방 효과도 일정 부분 있다"며 "정밀한 재검토를 거쳐 합리적인 방향을 설정하겠다"고 원점 재검토를 시사했다. 앞서 대덕면 감천댐반대대책위원회는 감천댐 추진 계획 백지화를 주장하며 댐 건설을 반대해왔다.
감천댐 건설은 감천 유역의 홍수피해를 근원적으로 예방하기 위한 방안으로 지난 1997년, 김천부항댐 타당성을 조사할 때부터 연계개발의 당위성이 제기됐다. 여러 과정을 거쳐 2012년 정부의 댐건설 장기계획(2012~2021)에 '대덕 소규모댐 후보지(대덕댐)'로 반영됐고, 2015년 12월에는 타당성 조사에 착수할 정도로 진전됐으나, 대덕댐반대대책위원회의 반대에 부딪히면서 2017년 10월에 사업이 중지됐다. 하지만 지난 3월, 감천댐(1천600만t)으로 개명돼 14년 만에 추진되는 기후대응댐 최종 후보지에 포함되면서 부활했다.
이에 대해 대덕면 감천댐반대대책위원회는 △감천 정비율은 국가하천 가운데 최상위급으로, 90%를 웃도는 수준이다 △현재도 200년 빈도를 적용해 정비하고 있다 △2023년 태풍(카눈) 때 대덕면은 200년 빈도의 강우량을 기록했음에도 김천시내 피해는 없었다 △감천 퇴적층에 의한 피해를 우려하지만, 계속적인 유실로 실제적 피해는 없었던 점 등을 들며 감천댐 건설을 반대하고 있다.
반면 김천시는 현재 감천홍수위를 조절하는 김천부항댐(홍수조절량 1천230만t) 유역(82㎢)은 김천시가지까지 감천 유역(577.9㎢)의 14%에 불과해 감천 본류의 홍수위 조절에 한계가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감천댐(유역면적 97㎢, 홍수조절량 1천600만t)을 건설해야만 근원적인 홍수 예방이 가능하다는 논리다.
김천시 관계자는 "낙동강홍수통제소의 김천수위표(김천교) 기준 기본 홍수량 2천640㎥/s에 김천부항댐 홍수조절량(342㎥/s)을 반영해도 저감효과가 크지 않다"며 "그러나 대덕댐의 홍수조절량(563㎥/s)이 더해질 경우 김천시 전역이 홍수로부터 안전해지는 효과를 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 관계자는 "지난 4월, 댐관리법 시행령이 개정되면서 저수량 2천만t 미만인 대덕댐도 주변지역 정비사업을 할 수 있게 됐다. 감천댐의 경우 사업비 315억원 정도를 예상하고 있다"며 "시는 김천부항댐, 수도계곡 등과 연계한 감천댐(대덕면) 관광자원화 사업을 통해 지역경제를 활성화할 수 있는 기회로도 보고 있다"고 밝혔다.

박현주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