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닫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
    밴드
  • 네이버
    블로그

https://m.yeongnam.com/view.php?key=20251023026093608

영남일보TV

  • [TK큐] 장애인 이동권 경계를 허물다, 스웨덴 휠체어 장애인의 하루
  • 대구 두류공원서 제18회 아줌마 대축제… 도농상생 한마당

“대통령님, 대구경북 현안 한번 살펴봐 주이소”

2025-10-23 20:13

⑴ 신공항 대통령 직속 태스크포스 구성
⑵ 국가문화예술허브·달빛철도 예타 면제
⑶ 대구독립운동역사관 건립
⑷ 국립치의학연구원 유치 및 종합의료클러스터 조성
⑸ 포항 영일만대교 해상노선 착공

대구시청 동인청사 전경. 대구시 제공

대구시청 동인청사 전경. 대구시 제공

그동안 희망고문만 해온 대구지역 숙원사업들은 수두룩하다. 대표적인 것이 TK신공항 건설, 국가문화예술허브 조성(옛 경북도청 후적지), 달빛철도 건설, 대구독립운동역사관 건립, 의료·바이오 거점 구축(국립치의학연구원·종합의료클러스터) 등이다. 청년 이탈로 날로 왜소해지고 있는 대구의 새로운 성장엔진으로 꼽히는 것들이다. 사업 본궤도 안착을 위해선 정부의 확실한 지원, 즉 '한 방'이 필요하다. 24일 타운홀 미팅을 위해 대구에 오는 이재명 대통령을 오매불망 기다리는 이유다. 대구시 관계자는 "이번 타운홀 미팅이 숙원사업의 적기 추진으로 이어지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했다.


우선 TK신공항 건설 사업의 경우 2016년 결정될 당시만 해도 △2018년 부지 확정 후 사업자 결정 △2020년 착공 △2023년 군공항(K-2) 및 민간공항 동시 이전이 계획됐다. 하지만 정권이 세 번 바뀔 동안 부지 선정 외 진척된 것은 아무것도 없다. 앞서 이 대통령은 지난 6월 취임 직후 개최한 광주 타운홀 미팅에서 "광주 민·군공항 이전을 국가가 책임져야 한다"며 대통령실에 테스크포스(TF)를 만들겠다고 약속했다. 이에 대구경북 시·도민은 TK신공항 건설 사업 역시 광주공항처럼 정부 주도로 이뤄져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여 왔다.


정부는 2~3% 이자를 부담하며 갚는 대구시의 '공공자금관리기금(공자기금)' 활용 방식에도 부정적이다. 장세철 통합신공항대구시민추진단장은 "대구공항은 빚을 내 공항을 이전해야 하고, 광주공항은 지자체 자금 한푼도 들지 않는 정부사업으로 추진된다면 형평성에도 어긋난다"며 "광주뿐 아니라 대구와 수원의 군공항 이전을 위한 통합TF를 하루 빨리 구성해 표류 중인 전국의 군공항 이전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7면에 관련기사


정부예비타당성조사(예타) 면제가 절박한 사안도 있다. 국가문화예술허브 조성사업과 달빛철도 건설사업이 대표적이다. 문화예술허브 조성은 경북도청 후적지(현 대구시 산격청사 자리)에 대구국립근대미술관·국립뮤지컬콤플렉스 등 대형 문화인프라를 집적시키는 프로젝트다. 대구에는 찬란했던 문화예술의 역사가 남아 있고, 곳곳엔 뛰어난 문화예술 자원이 포진해 있다. 대구시는 이 사업을 정부에 지속적으로 요구했지만, 아직 손에 잡히는 게 없는 상황이다. 국립뮤지컬콤플렉스와 국립근대미술관 사업은 올 하반기와 내년 예타 면제 대상 사업으로 선정돼야 한다.


달빛철도(총연장 198.8㎞)는 대구와 광주를 한 시간대 생활권으로 연결하는 교통망이다. 영호남 화합이란 상징성을 갖고 있다. 지난해 1월 힘겹게 특별법이 국회 문턱을 넘었다. 예타를 앞두고 있지만 또 하세월을 보내야 한다. 이에 대구시와 광주시는 예타 면제 확정을 수차례 촉구해 왔다. 이제 정부는 응답해야 한다.


지역의 정체성 확립과 연계된 대구독립운동역사관 건립 사업에도 정부 반응은 아직 뜨뜻미지근하다. 지역 보훈단체와 대구시는 중구 대신동 계성중학교 부지를 찜해 놨다. 수많은 독립운동가를 배출한 대구는 '독립운동의 성지'라 불린다. 필요성은 정부도 공감하고 있지만 확실한 '화답'이 필요하다.


의료·바이오는 대구가 향후 신산업에서 강점을 보일 수 있는 분야여서 거점 구축이 절박한 상태다. 대구엔 첨단의료복합단지가 조성돼 있다. 우수한 인적 자원이 풍부하다. 대구는 또 치의학 분야에서도 뛰어난 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다. 이에 국립치의학연구원 유치와 종합의료클러스터 조성은 대구가 청년이탈을 막고 재도약할 수 있는 확실한 마중물이 될 것이다.


한편 경북의 시급한 사업 중 하나인 영일만대교도 정부의 적극적 지원을 기다리고 있다. 영일만대교는 영일만항–영일만산단–포항국가산단–블루밸리산단–포항경주공항으로 이어지는 일체형 산업물류벨트를 구축하는 대형 프로젝트다. 단순한 지역 SOC사업이 아닌 국가균형발전과 국토공간 혁신을 이끌 핵심 인프라다. 현 정부가 추진 중인 북극항로 진출 전략의 기반이기도 하다. 영일만항이 동북아 해양물류 허브로 도약하기 위해선 안정적·효율적인 배후교통망이 필수다. 해상노선으로 지어질 경우 이러한 물류 흐름을 가장 원활하게 보장할 수 있다.



기자 이미지

노진실

기사 전체보기
기자 이미지

전준혁

기사 전체보기
기자 이미지

임성수

편집국에서 경제·산업 분야 총괄하는 경제에디터입니다.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 인기기사

영남일보TV

부동산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