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급등락에 대출·신용융자 동반 급증
“지금 아니면 늦다” 2021년식 투자심리 재현
지난 7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현황판에 코스피 지수 등이 표시되고 있다.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72.69포인트(1.81%) 내린 3,953.76에, 코스닥은 21.36포인트(2.38%) 내린 876.81에 장을 마감했다. 연합뉴스
대구 북구의 40대 직장인 김모씨는 지난여름 마이너스통장을 개설해 주식시장에 뛰어들었다. 처음엔 미국 주식으로 시작했지만, 국내 증시가 가파르게 오르자 신용대출까지 받아 투자금을 늘렸다. 김씨는 "지금 장이 내려가도 결국 오를 거라 믿는다"며 "돈만 있다면 지금이 기회"라고 말했다.
달서구의 30대 직장인 박모씨도 비슷하다. 지난달 마이너스통장 한도를 늘려 3천만원을 빌리고 반도체주에 베팅했다. 그는 "3년 전 빚투를 망설이다가 수익 기회를 놓쳤다"며 "이번에는 늦지 않게 올라탔다"고 말했다.
코스피가 사상 처음 4천선을 돌파했다가 급락을 반복하는 '롤러코스터 장세' 속에, 대구에서도 빚을 내 투자하는 '영끌·포모(FOMO)' 열기가 다시 번지고 있다. '포모(Fear of Missing Out)'는 상승장에서 뒤처질까 두려워 무리하게 투자에 나서는 심리를 뜻한다. 이들은 코로나 이후 '돈만 넣으면 오르던' 2021년 장세를 떠올리며 "지금 아니면 늦는다"는 조급함 속에 다시 레버리지를 키우고 있다.
8일 iM뱅크에 따르면 올해 3분기 기준 가계대출은 21조5천773억원으로, 1분기(21조2천741억원)보다 0.3%(3천32억원) 늘었다. 같은 기간 5대 시중은행의 마이너스통장 잔액도 39조4천671억원으로 두 달 새 6천778억원(1.8%) 증가했다.
'빚투' 확산세는 주식시장에서도 뚜렷하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 6일 기준 신용거래융자 잔액은 25조8천782억원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난 8월 21조7천억원에서 석 달 만에 4조원 넘게(18.6%) 증가했다. 특히 코스피 시장 잔액이 16조원을 넘어서며 역대 최대치를 경신했다.
직장인 장모씨(28)는 "지금 투자하지 안 하면 평생 못 할 것 같았다"며 "주식으로라도 자산 격차를 좁혀야 한다는 생각뿐"이라고 말했다. 자본시장연구원 보고서를 보면 코로나19 이후 청년층의 주식·채권·펀드 보유 가구 비중은 두 배 가까이 늘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급등과 급락이 반복되는 시장 상황에서 무리한 차입 투자를 경계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이지영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