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닫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
    밴드
  • 네이버
    블로그

https://m.yeongnam.com/view.php?key=20251109025336696

영남일보TV

  • 새벽 공기 뚫고 시험장으로… 2026 수능 그날의 따뜻한 현장
  • 이건희 기증 석조물 257점 공개, ‘모두의 정원’ 개방

[대구도심융합특구 지정 1년] 대구형 판교테크노밸리, 언제쯤 본궤도 오를까?

2025-11-09 20:23

경북도청 후적지 개발 사업…문화예술허브 조성·신청사 건립 ‘변수’
대구시, 관계기관 협의 거쳐 내년 상반기쯤 사업시행자 지정 예정
“문화예술허브·신청사 맞물려 부지 배분·사업 착공 시점 결정돼야 속도 ”

대구도심융합특구 및 문화예술허브 조성 예정지인  옛 경북도청 터(현 대구시청 산격청사) 전경. 영남일보DB

대구도심융합특구 및 문화예술허브 조성 예정지인 옛 경북도청 터(현 대구시청 산격청사) 전경. 영남일보DB

경북도청 후적지 일대(대구 북구 산격동)가 청년과 신산업 기업들이 집적되는 대구도심융합특구로 지정된지 1년째가 됐다. 하지만 현재 대구시 산격청사로 임시로 들어선 이 일대가 국가문화예술허브 조성 사업과 맞물려 언제쯤 관련 사업들이 제대로 이행될 지는 아직 미지수다. 빠른 교통정리가 필요해 보인다.


9일 영남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대구시는 내년 상반기쯤 도심융합특구 사업자를 지정할 계획이다. 본격적인 특구 조성사업 이 추진되려면 문화예술허브 조성, 대구시 신청사 건립(옛 두류정수장 일대) 등 대형 프로젝트들이 변수가 될 전망이다.


대구도심융합특구는 지방 도심에 기업과 인재가 모일 수 있도록 산업, 주거, 문화를 갖춘 고밀도 복합공간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대구형 판교테크노밸리'를 표방하고 있다.


도심융합특구는 도청 후적지(14만㎡)에 글로벌R&D존, 혁신기업존, 앵커기업존 등을 조성할 예정이다. 경북대(인재육성 거점), 삼성창조캠퍼스(창업허브 거점)도 연계돼 있다. 시는 오는 2035년 도심융합특구 사업을 완료할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대구도심융합특구 위치도. 대구시 제공

대구도심융합특구 위치도. 대구시 제공

하지만 문화예술허브 조성과 대구시 신청사 건립사업이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문화예술허브 조성은 도청 후적지에 국립근대미술관·국립뮤지컬콤플렉스 등 대형 문화인프라를 집적시키는 사업이다. 문화예술허브와 도심융합특구는 도청 후적지에 나란히 들어서기 때문에, 부지와 공간 배치 등에 대한 조율이 필요하다.


시는 향후 문화예술허브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절차가 마무리되고, 사업 부지 등이 확정돼 잔여 부지가 명확해지면, 도심융합특구 조성 사업의 공간 재배치 및 기본계획 변경이 가능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문화예술허브 조성사업의 조속한 추진을 정부에 건의 중이다. 시 관계자는 "최근 문화체육관광부를 찾아 내년 '미술관 종합계획' 수립시 대구 국립근대미술관 건립이 우선 반영될 수 있도록 건의하는 등 꾸준히 정부에 어필하고 있다"고 했다.


대구시 신청사 건립 사업도 맞물려 있다. 시는 2030년 준공을 목표로 대구시 신청사 건립 사업을 진행 중이다. 도심융합특구및 문화예술허브 사업은 대구시 신청사 건립이 마무리 돼야 착공 등이 이뤄질 전망이다. 아직은 어느 것 하나 확실하게 사업을 본격화할 동력이 없는 상황이다.


대구시는 내년 상반기 도심융합특구 사업시행자 지정을 목표로, 관련 협의를 진행 중이다.


대구시 관계자는 "특구 사업시행자가 지정이 되면, 이후 실시설계 용역을 통해 구체적인 안을 만들 예정"이라며 "실시설계의 경우, 정확한 부지 배분 등이 이뤄져야 하기 때문에 도청 후적지와 관련된 문화예술허브 조성사업의 진행 상황과 속도를 맞춰서 진행할 계획이다. 사업 착공 시점도 대구시 신청사 사업과 맞물려 있다"고 했다.



기자 이미지

노진실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 인기기사

영남일보TV

부동산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