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 기자회견 열고 “1천명 위험에 방치”
학교측 “예산 지원 제외돼 공사 늦어져”
포항제철고등학교 석면 철거 공사와 관련해 시민단체들이 학교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있다. <전준혁기자>
전국단위 자율형 사립고인 포항제철고가 학기 중 석면 해체·제거 공사를 진행한 것을 두고 논란이 일고 있다. 시민단체는 "학생과 교직원이 석면 노출 위험에 휩싸였다"며 비판했고, 학교 측은 "예산 확보 지연으로 방학 기간에만 공사를 완료하기 어려웠다"고 해명했다.
포항환경운동연합·환경보건시민센터·한국석면추방네트워크는 18일 포항제철고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포항제철고가 학기 중인 지난 9월을 전후해 석면 철거를 진행해 학생과 교직원이 광범위한 위험에 노출됐다"고 지적했다. 전국 대부분 학교는 석면 비산 위험을 줄이기 위해 주로 방학 기간에 공사를 진행한다는 것과 크게 대조된다는 것이다. 이어 "이미 진행된 학기 중 석면철거 과정에서 학생과 교직원의 석면노출 가능성을 조사하고, 석면질환발병 조기 발견 차원에서 평생 석면질환발병관련 모니터링을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향후 예정된 공사 일정 등에 대해서도 우려를 표했다. 현재 포항제철고는 2개년 계획으로 석면제거 작업을 진행 중이다. 올해는 관리동·특별실동·3학년동을 철거하고, 내년엔 1학년동·2학년동을 철거할 예정이다. 이는 2027년까지 완료 예정인 교육부의 '무석면 학교' 계획에 따른 것이다.
최예용 환경보건시민센터 소장은 "잘못된 석면 철거 계획을 중단하고, 안전을 지킬 수 있는 장치마련이 시급하다"며 "다시는 위험하고 잘못된 석면 철거 공사가 진행되지 않아야 한다"고 말했다.
지난 9월 석면철거가 진행된 포항제철고등학교 관리동 전경. <전준혁 기자>
학교 측은 "기업형 자사고라는 이유로 교육청 석면 철거 지원 대상에서 제외돼 예산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해 공사가 지연됐다. 공사 자체는 안전하게 진행됐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학교 측은 "교실동과 관리동·특별실동 등이 물리적으로 분리된 구조라 학기 중 학생과 직접 관련 없는 건물부터 우선 공사를 했다"며 "관리동 철거는 학기 중이었지만 전면 밀봉 조치와 출입 통제, 비산 석면 상시 모니터링 등 기준을 충족했다"고 설명했다. 석면모니터단 운영 사실도 전했다. 이 모니터단은 학부모·외부 전문가·시민단체 등 9명으로 구성됐다. 비닐보양·철거·잔재물 점검 등 모든 단계에서 모니터단의 확인 절차를 거쳐야만 공사가 진행될 수 있다는 것.
김현곤 포항제철고 교감은 "향후 공사는 방학 기간에 진행할 예정이다. 만약 위법 사항이나 안전 우려가 발생하면 즉시 중단하고 보완하겠다"고 말했다.
전준혁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