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닫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
    밴드
  • 네이버
    블로그

https://m.yeongnam.com/view.php?key=20251123023519944

영남일보TV

  • 단풍 물든 수성못에서 즐긴 커피와 빵의 향연…‘제7회 대구 커피&베이커리 축제’ 개최

경북도 “핵융합 연구시설 최적지는 경주”…원전 50년 경험·연구 인프라 ‘승부수’

2025-11-23 18:58
핵융합 연구시설 관련 기관들이 경주유치 전략회의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경북도 제공

핵융합 연구시설 관련 기관들이 경주유치 전략회의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경북도 제공

경북도가 핵융합 연구시설 유치전에서 경주를 전면 지원한다. 원전 50년 운영으로 검증된 안정성과 주민 수용성, 포스텍·한동대·원자력연구원 등 연구 인프라, 신속 착공이 가능한 대규모 부지를 앞세워 '경주가 핵융합 거점의 최적지'임을 공식 피력하고 있다.


경북도는 지난 21일 대전 한국연구재단에서 열린 핵융합 연구시설 용지 공모 발표평가에 양금희 경북도 경제부지사가 직접 참석해 유치 필요성을 강조했다. 프레젠테이션은 송호준 경주시 부시장이 맡았다. 이어진 30분 질의응답에서 양 부지사는 "경주는 50년 원전 운영으로 축적된 안전·수용성, 우수 연구기관 집적, 입지 여건을 두루 갖춘 핵심 후보지"라고 강조했다.


유치 신청 부지는 경주시 감포읍 문무대왕과학연구소 2단계 유휴부지 내 약 51만㎡ 규모다. 산업단지로 계획된 곳이어서 인허가·공사 절차를 단축해 조기 착공이 가능하다는 점이 강점으로 제시됐다.


경북도는 경주가 '수용성과 안전성'에서 타 후보지 대비 우위에 있다고 본다. 이미 50여 년간 원전을 운영해 온 경험에 더해, 국내 유일의 중저준위 방폐장을 보유하고 있어 방사성폐기물 관리에 대한 주민 체감과 제도·기술적 기반이 탄탄하다는 설명이다. 대규모 전력을 요하는 핵융합 연구특성상 전력 인프라와 지역 수용성은 결정적 요소라는 게 경북도의 판단이다.


'연구 생태계'도 강점으로 꼽혔다. 포항공과대학교와 한동대학교는 노심 플라스마 제어, 혁신형 디버터 등 핵융합 8대 핵심기술 관련 연구를 수행 중이며, 관련 석·박사급 전문 인력 양성 체계를 갖추고 있다. 포항 가속기(방사광·양성자)와 한국원자력연구원 등과의 협업 가능성도 높아, 고에너지 입자가속기 활용이 필수인 핵융합 실험·부품 검증에 유리하다는 평가다. 경주는 2025 APEC 정상회의를 성공 개최한 도시로서 국제협력 네트워크와 운영 역량을 갖춘 점도 '핵융합 국제협력 허브'로의 확장성을 뒷받침한다. 부지 선정 결과는 한국연구재단 주관 평가위원회 심사를 거쳐 이달 말 발표될 예정이다.



기자 이미지

권기웅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사회 인기기사

영남일보TV

부동산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