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대표 플랫폼 네이버와 업비트 운영사 두나무가 '계열 통합 추진'에 따른 미래 청사진을 27일 공식 발표한다. 네이버와 두나무는 이날 오전 경기 성남 네이버 제2사옥인 '네이버 1784'에서 공동 기자간담회를 갖는다. 사진은 27일 경기도 성남시 네이버 본사 모습. 연합뉴스
국내 대표 포털 네이버와 업비트 운용사 두나무가 27일 'K핀테크' 글로벌 시장 선점을 위해 5년간 10조원 투자를 선언했다.
네이버와 금융 자회사 네이버파이낸셜, 업비트 운영사 두나무는 이날 오전 경기 성남 네이버 1784 사옥에서 공동 기자간담회를 열고, 3사의 글로벌 진출 전략을 발표했다. 전날 양사는 각 이사회를 통해 포괄적 주식 교환을 통해 두나무를 네이버 계열사로 편입하는 데 합의한 바 있다.
이날 간담회에는 이해진 네이버 의장을 비롯해 송치형 두나무 회장, 김형년 부회장, 최수연 네이버 대표, 오경석 두나무 대표, 박상진 네이버파이낸셜 대표 등 양사의 최고 경영진이 모두 참석했다. 이들은 AI와 웹3 기업 융합을 통해 글로벌 핀테크 시장에서 블록체인을 중심으로 한 기술 융합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K핀테크 경쟁력을 입증하겠다는 공동 비전을 제시했다.
이해진 의장은 "네이버의 AI 역량은 웹3와 시너지를 발휘해야만 차세대 시장을 선점할 수 있다"며 "두나무와 네이버파이낸셜이 글로벌 디지털 금융산업 트렌드에 뒤쳐지지 않기 위해서는 빠른 의사결정 체계가 필요하고, 아직 글로벌 기업들이 하지 않는 새로운 시도와 도전을 해야 그들과의 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있다"고 말했다.
최수연 대표는 발표에서 "블록체인 대중화 흐름과 AI가 스스로 판단하고 일을 처리하는 에이전틱 AI 단계로 넘어가는 과정이 맞물린 현재의 기술적 모멘텀은 새로운 기회가 열리는 중요한 시점"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AI 및 웹3 관련 생태계를 조성하고 이를 활성화하기 위해 향후 5년간 총 10조원을 투자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송치형 회장은 "3사가 힘을 합쳐 AI와 블록체인이 결합한 차세대 금융 인프라를 설계하고, 지급결제를 넘어 금융 전반 나아가 생활 서비스까지 아우르는 새로운 글로벌 플랫폼 질서를 만들어가고자 한다"고 밝혔다. 김형년 부회장은 "앞으로 대부분 자산이 블록체인 위에 올라가 유통되는 토큰화가 확산될 것"이라며, "이번 기업융합을 통해 국경이 없는 디지털자산 시장에서 한국이 선도하는 미래를 만들어나가겠다"고 말했다.
합병이 완료되기 위해선 정부 심사와 주주총회 특별결의가 완료돼야 한다. 주주총회는 내년 5월 열린다.
한편, 같은 날 업비트에서 540억원 규모 해킹 사고가 일어나 금융당국이 현장 점검에 착수했다. 두나무는 기자간담회 직후인 오후 12시 33분쯤 고객 공지를 통해 해킹 피해 사실을 알렸다.
오경석 두나무 대표는 "이날 오전 4시 42분쯤 약 540억 상당의 솔라나 네트워크 계열 자산 일부가 내부에서 지정하지 않은 지갑 주소로 전송된 정황을 확인했다"며 사고 내용을 공식화했다. 이어 "회원 자산에 어떤 피해도 발생하지 않도록 전액 업비트 자산으로 충당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현재 두나무는 업비트의 가상자산 입출금을 일시 중단하고 보안 점검에 들어간 상태다.
서민지
디지털콘텐츠팀 서민지 기자입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