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닫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
    밴드
  • 네이버
    블로그

https://m.yeongnam.com/view.php?key=20130129.010190731060001

영남일보TV

[건강 기고] 호흡곤란

2013-01-29
[건강 기고] 호흡곤란

호흡곤란은 뇌에서 숨을 더 쉬어야 한다는 신호다. 일반적으로 호흡곤란의 원인은 크게 심장질환과 호흡기질환으로 나눌 수 있다. 심장질환으로 발생하는 숨찬 질환은 크게 심장에 피 공급이 원활히 되지 않아 발생하는 허혈성 심장질환과 심부전을 원인으로 들 수 있다. 호흡기질환으로 급성 호흡곤란을 일으키는 원인으로는 기관지 천식, 폐동맥이 혈전으로 막히는 폐색전증, 폐의 공기가 새어버린 기흉, 폐렴 등이 있다.

진단을 위해서는 증상과 과거에 앓은 병을 제대로 파악하는 것이 첫째 할 일이다. 과거에 앓은 심장 및 호흡기질환을 파악하는 것은 물론, 현재 복용 중인 약을 아는 것도 중요하다. 그러므로 숨이 차 진료를 받게 된다면 평소에 복용하고 있는 약의 이름을 알고 오면 큰 도움이 된다. 일반적으로 진료할 때 가슴이 아픈지, 열이 나는지, 기침이 있는지, 가래가 있는지, 자세 변화에 따라 숨이 더 차는지 등을 질문한다.

호흡곤란의 경우 기도 질환에 의해 발생했다면 기침, 가래 등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 숨찬 것이 계절적으로 차이가 있고 쌕쌕거리는 소리와 함께 알레르기 증상이 같이 있다면 천식을 생각해 볼 수 있다. 기관지 천식의 경우 다른 질환과의 감별진단과 치료를 위해 호흡기내과에서 진료를 받는 것이 좋다. 담배를 많이 피운 적이 있고 가래가 계속 배출되고 숨이 차다면 흡연에 의한 기도질환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숨이 찬 환자는 세 가지 단계를 거쳐 평가할 수 있다. 자세한 병력 청취와 함께 신체검사를 시행하고 1차로 혈액 검사를 통해 빈혈 또는 간 혹은 신장에 문제가 있는지 확인하며 흉부방사선, 심전도, 폐기능검사 등을 통해 천식 또는 만성폐쇄폐질환, 심부전, 흉막염 등의 감별진단을 한다. 1차 검사에서 원인 질환이 밝혀지지 않으면 2차 검사(심초음파, 폐용적과 폐확산능검사, 동맥혈가스, 흉부전산화단층촬영, CT 관상동맥조영술, 24시간 심전도, 핵의학검사, 환기관류주사)를 선별적으로 시행해 드문 숨찬 질병을 감별할 수 있다. 만약 환자가 2차 검사에서도 병이 나타나지 않으면 더 정밀한 검사를 시행할 수 있다.

호흡곤란은 주로 폐와 심장질환에서 발생하는 비 특이적인 증상이다. 숨찬 환자를 평가할 때에는 문진과 신체검사, 과거 병력을 철저히 조사한 후 의심되는 질환에 따라서 단계적으로 검사를 시행해 진단한다. 진단이 확정되면 이에 맞추어 적절한 치료를 하면 된다.
최원일 대구 동산병원 호흡기내과 교수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건강 인기기사

영남일보TV

부동산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