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되짚어보는 3년전 첫 발병 사태
확진 공무원 근무했던 주민센터 폐쇄조치
정보전달 미흡 등으로 시민들 동요하기도
2015년 5월20일 바레인에서 입국한 한국인 A씨가 메르스 환자로 확진되면서 국내 첫 메르스 환자가 발생했다. 무려 38명이 목숨을 잃고, 1만6천752명이 격리되는 사상 초유의 대한민국 메르스 사태는 그렇게 시작됐다.
대구에선 같은 해 6월16일 첫 메르스 확진환자가 나왔다. 남구청 산하 한 주민센터 소속 공무원인 이 환자는 자신의 모친 병문안을 위해 삼성서울병원 응급실을 다녀왔음에도 20일 가까이 신고를 하지 않고 근무한 것으로 드러났다. 당시 해당 주민센터는 공공기관으론 전국에서 유일하게 10여일 동안 폐쇄조치가 내려졌고, 함께 근무해 온 주민센터 직원 14명도 모두 자가격리 조치됐다. 그뿐만 아니라 이 공무원이 메르스 증상을 보인 다음날 들렀던 목욕탕도 폐쇄 조치가 내려졌다.
대구시는 당시 시민들이 불안감에 동요하는 분위기가 이어지자 해당 공무원의 메르스 확진 이틀 만에 그와 직간접으로 접촉한 624명을 격리하는 고강도 대책을 내놨다. 또 이 공무원이 삼성서울병원을 다녀온 뒤 12일간 들렀던 대구지역 식당·노래방·경로당 등을 실명으로 공개하며 사태 수습에 적극 나섰다. 하지만 시민이 겪어야 했던 불안과 올바른 정보 전달의 미흡, 민관 협력 방역체계 부재 등은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경북지역에서는 경주에서 메르스 확진환자가 1명 발생했다. 이 환자는 포항지역 한 고교 교사로, 아들 진료를 위해 삼성서울병원 응급실과 중환자실을 방문했고, 4시간가량 머물렀다. 이후 몸에 이상을 느껴 경주·포항 등 4곳에서 진료까지 받았다. 이 같은 사실이 알려지자 지역사회는 큰 혼란에 빠졌다. 특히 이 환자는 증상이 발현되고 의심환자로 격리될 때까지 학교 수업도 진행한 것으로 밝혀지면서 학생들 사이에 감염이 크게 우려됐다. 당시 경북지역에선 한 달 동안 의심환자 11명을 비롯해 접촉자 등 관리대상자만 최대 526명에 달하기도 했다.
보건복지부는 그해 12월23일에 이르러서야 메르스 종식을 공식 선언했다. 이후 경북도는 ‘메르스 백서’를 발간하고 대구시와 공동 심포지엄을 개최하면서 재발 방지에 힘을 쏟았다.
강승규기자 kang@yeongnam.com

강승규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