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닫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
    밴드
  • 네이버
    블로그

https://m.yeongnam.com/view.php?key=20220322010003061

영남일보TV

일상·생산활동 전반 '데이터화'…새 비즈니스 성장모델 구축

2022-04-04

[윤석열의 약속 .10] 대구, 국가 디지털 데이터 거점도시 조성

일상·생산활동 전반 데이터화…새 비즈니스 성장모델 구축
일상·생산활동 전반 데이터화…새 비즈니스 성장모델 구축
지난달 21일 권영진 대구시장이 대통령직인수위원회를 방문해 윤석열 당선인을 만나 면담을 갖고 대구시 공약을 국정과제로 채택해 줄 것을 건의 하고 있다. 〈대구시 제공〉
권영진 대구시장이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에게 국정과제 채택을 건의한 사업은 총 9개 분야 16개 사업이다. 이중 특히 눈에 띄는 사업은 '국가 디지털 데이터산업 육성 및 디지털 데이터산업 거점도시 대구 조성'이다. 이 공약은 권 시장이 선거 운동 중이던 당시 윤 후보를 직접 찾아가 대구에 꼭 필요한 사업임을 강조하면서 뒤늦게 대구시 공약 사업에 포함됐다. 4차 산업혁명시대에 걸맞게 산업구조 변화를 준비해야 하는 대구로서는 꼭 필요한 사업이다. 대구시는 데이터산업 육성이 지역산업 혁신 및 미래 먹거리 창출을 통한 경제 발전에 밑거름이 될 것으로 확신한다.

◆국내 데이터산업의 현실

서비스로봇산업·자율주행미래차·인공지능(AI)·사물인터넷(IoT) 등 우리 삶을 획기적으로 바꿔 놓을 미래산업 기술에 절대 빠져서는 안 되는 것이 바로 데이터다. 기술적 구현이 가능해도 목적에 맞는 역할을 수행하려면 축적된 데이터 수집 및 활용은 필수적이다. 미래산업 기술 대부분은 그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수많은 데이터가 있어야만 비로소 가치가 있다.

국내에서도 데이터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AI 기술이 고도화함에 따라 데이터의 중요성이 커지고 데이터 기반 산업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배달산업·자율주행자동차·배터리관리 등 데이터 기반 플랫폼 사업 기업이 지속적으로 등장하는 배경이기도 하다. 다만 국내 데이터 기반 디지털 전환에서 기업과 인력이 수도권에 집중되면서 지방과의 격차는 더욱 심화하고 있다. 국가균형발전과 데이터산업 저변 확대를 위해서라도 디지털 거점 도시를 전략적으로 조성하는 게 국가적 과제라 할 수 있다.

대구시 자체 분석에 따르면 국내 데이터산업은 구축·유통·활용 등 가치사슬 전반에 걸쳐 고품질 데이터 부족과 폐쇄적 유통구조, 산업·사회적 활용 저조 등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지속적 공공데이터 개방 및 확대에도 불구하고 활용도가 높은 고부가가치 공공데이터는 양적으로 부족하고 품질 또한 낮은 것이 현실이다. 2017년 기준 국내 클라우드(가상저장공간) 데이터 이용률은 12.9%로 OECD 33개국 중 27위에 그쳤다. 이는 개별기업 중심의 제한적 데이터 유통과 거래제도 미비 등이 양질의 데이터 유통을 가로막은 탓이다. 산업 전반에 대한 데이터 활용 확산으로 데이터 분석 수요는 크게 늘고 있으나 기업이 필요로 하는 전문인력과 인프라가 부족한 것도 한몫했다.


자율운영·데이터 기반 최적화
데이터 허브역할 로드맵 구상

로봇·자율주행차·의료·IoT
데이터기반 디지털산업 전환
기업·전문 인력, 수도권 집중

국가허브센터건립 4천억 투입
대구 전역 규제자유특구 지정
지역미래 먹거리 창출 밑거름



◆데이터로 만드는 기회의 도시

일상·생산활동 전반 데이터화…새 비즈니스 성장모델 구축
지난해 대구테크노폴리스 내에 총 3천억원이 투입되는 '국가 로봇 테스트 필드'를 유치한 대구는 △서비스로봇 글로벌 허브도시 도약 △전기차 혁신산업 클러스터 구축 △소프트웨어 의료산업 중심도시 대구 조성 △대구 국가 스마트기술산업단지 건설 등을 국정과제 채택 건의 사항에 포함시켰다. 이들 사업은 갑작스럽게 제안한 것이 아니라 대구경제의 체질을 완전히 바꾸기 위해 수년간 전략적으로 키워 왔다.

대구는 오랜 기간 산업 체질을 4차 산업혁명 관련 분야로 변화시켜 왔고, 마지막 퍼즐이 '디지털 데이터 거점 도시' 조성이다. 현재 지역 내 여러 기업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기술을 업그레이드 중이다. 또한 미래산업이 본궤도에 오를 조짐을 보이면서 디지털데이터산업과 보조를 맞출 경우 시너지 효과도 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대구시는 기존 온라인 활동에서 생산되는 데이터 중심에서 확장해 생산활동 전반에 대한 '데이터화'를 계획하고 있다. 일상 활동 대부분을 데이터화하고 이를 활용해 자율운영, 데이터 기반 최적화 및 서비스 개발 등의 관점에서 산업화를 이뤄내는 '데이터 허브' 역할을 하겠다는 것. 기존 데이터 통합조정 기능을 강화하고 새로운 데이터산업을 중점 육성한다는 전반적인 로드맵도 구상 중이다.

이를 통해 육성할 수 있는 분야는 무궁무진하다. △3D 데이터를 활용한 자동차 분야 △개인정보 보호 하의 데이터 거래를 통한 의료 분야 △산업 간 데이터 융합 분야가 기반으로 자리 잡을 수 있다. 교통·에너지·물 등 공공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스마트시티 조성도 한 단계 앞서 나갈 수 있다. 현실과 동일한 가상현실을 구성하는 실시간 데이터(디지털 트윈) 구축으로 △제조공정 △상·하수도 운영 △국방 등 시뮬레이션을 통한 예측분석 사업 활성화도 기대할 수 있다. 디지털 트윈은 향후 메타버스와 결합된 '메타 트윈'형태로 전환될 수 있어 새로운 비즈니스 사업 모델로 관심을 모은다.

대구시는 데이터 거점도시 대구를 만들기 위한 기본 전략을 세워놓고 있다. 기관별로 산재한 데이터를 연계·통합하고 △거래·중개 △품질인증 △생산·융합하는 '국가 데이터허브센터' 건립이 우선이다. 고성능 컴퓨팅 자원 및 실증 장비 등 기반 구축에 4천억원을 투입해 허브센터를 건립할 계획이다.

기업 중심 프로젝트 교육 후 국내 취업 및 해외 진출을 위한 인재를 양성하는 '글로벌 데이터캠퍼스' 운영도 필수다. 전 세계 데이터 관련 인재를 통한 범국가적인 데이터 네트워크 및 기업 간 소통 창구 구축도 저울질 중이다. 대구 전역을 '데이터 규제자유특구'로 지정해 국가·산업 데이터센터를 연결하고 데이터를 자유롭게 생산·가공·활용하는 환경 구축도 염두에 두고 있다. 도시 및 중요 데이터를 개방해 실시간 데이터 기반 실증 서비스 지원도 고려 중이다.

◆새 정부 의지가 사업 성패 갈라

데이터가 가치를 갖기 위해선 일단 '쌓여야' 한다. 축적된 데이터는 무한한 가치를 가지고 향후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산업에 혁신을 가져다 줄 수 있다. '빅데이터'라 일컬을 정도의 방대한 데이터를 축적하기 위해서는 국가적인 지원이 절실하다.

이승대 대구시 혁신성장국장은 "실시간으로 생산되는 정부 기관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추가적인 데이터와 결합해 가공 및 활용하기 위해서는 국가 차원의 전폭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며 "국가 단위의 디지털 데이터 거점 도시가 육성되면 국내 데이터 시장 활성화와 함께 지역 성장모델 확보 등 시너지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형엽기자 khy@yeongnam.com
기자 이미지

김형엽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관련기사

경제 인기기사

영남일보TV

부동산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