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수출 26개월만에 감소
對中 무역적자 넉달 연속 지속
![]() |
수출 강국 한국의 무역전선에 먹구름이 짙게 드리우고 있다. 에너지 가격 고공행진으로 무역수지가 악화된 가운데 주력 수출품목인 반도체 수출이 26개월 만에 감소세로 돌아섰다.
최대 수출국인 중국 수출도 쪼그라들어 무역적자가 넉 달 연속 지속되고 있다. 1992년 한·중 수교후 30년 만에 처음 겪는 일이다.
1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8월 수출입 통계' 자료를 보면 지난달 수출은 566억7천만달러로 지난해 동월보다 6.6% 늘었고, 수입은 661억5천만달러로 28.2% 증가했다. 무역수지는 94억7천만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무역통계가 작성되기 시작한 1956년 이래 66년 만에 최대치다.
주요 품목 가운데에선 반도체 수출이 107억8천만달러로 지난해 동월보다 7.8%나 감소했다. 반도체는 국내 전체 수출의 20%를 차지하는 품목이다.
반도체 수출은 소비자 구매력 감소와 과잉 재고 등에 따른 수요 약세로 26개월 만에 감소했다.
특히 신규 중앙처리장치 출시 지연과 그간 축적된 재고 등으로 당분간 가격 하락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한동안 반도체 수출 감소세 지속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이런 가운데 그나마 자동차 품목 등에서 선방하면서 역대 8월 수출 1위 기록은 세웠다.
지난달 자동차 수출액은 41억2천만달러다. 지난해 동월보다 35.9% 늘었다. 차량용 반도체 수급난이 다소 완화되고 친환경차 시장이 확대되면서 미국 수출이 증가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석유제품도 66억7천만달러가 수출됐다. 전년 동월보다 113.6% 급증했다.
최대 수출국인 중국을 대상으로 한 수출은 지난 5월부터 넉달 연속 감소세다. 지난달 대중 수출액은 131억3천만달러로 지난해 동월보다 5.4% 줄었다. 역대 3위 수준이다.
주요 제품별로 보면 석유제품과 철강 등의 수출은 늘었지만 계속되는 중국의 내수·생산 둔화세 영향으로 반도체 등의 수출이 감소한 영향이다.
반도체와 석유화학 제품 수출은 각각 3.4%, 10.9%씩 줄었다.
하지만 반도체·정밀화학원료 등 국내 산업 생산·수출에 필요한 중간재 등을 중심으로 수입은 늘었다. 대중 무역수지 적자 규모는 3억8천만달러로 나타났다.
무역적자액은 5월 10억9천만달러에서 6월 12억2천만달러로 늘었다가 7월 6억달러로 줄어든 뒤 8월에는 3억8천만달러로 더 줄었다.
중국 수출이 줄어든 것은 코로나19 여파에 따른 도시봉쇄 등 중국과의 무역 여건 악화, 중국의 성장세 회복 지연 영향이 컸다. 지난해 8.1%였던 중국의 경제성장률은 올해 1분기 4.8%에 그쳤고 2분기에는 0.4%로 떨어졌다.
한편 올해 8월까지 누적 수출액은 4천678억달러로 역대 최대 규모다. 수출과 수입을 합한 누적 무역액도 9천603억달러로 역시 1위다. 상반기 한국의 무역액은 전 세계 7위다.
정우태기자 wtae@yeongnam.com

정우태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