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이버 위협 인텔리젠스(CTI) 전문 기업 샌즈랩은 수요예측에서 최종 공모가를 1만500원에 확정했다고 3일 밝혔다.
앞서 2일부터 3일까지 양일간 실시한 기관투자자 대상 수요예측에서 1만500원에 공모가를 확정했다. 이는 기존에 제시했던 희망범위 8500원~1만500원의 최상단이다.
이번 수요예측에서는 1541개 기관이 참여해 1325.79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참여한 기관투자자의 98.08%가 공모가 상단 혹은 초과의 가격을 제시했다. 상장 후 시가총액은 1587억원이다.
전체 공모 물량의 75%인 277만5000주에 대해 신청을 받았는데 1541개 기관이 총 36억 7908만주를 신청한 것으로 파악됐다. 수요예측 신청가격 분포를 보면 전체 기관투자자의 97.70%가 1만500원 이상을 제시했다.
전체 상장예정 주식 수 1511만1000주 가운데 유통가능 물량은 388만7500주로 전체 25.7%다. 보호예수 물량은 1122만3500주로 전체의 74.3% 비중이다. 특히 보호예수물량 중 최대 주주 등 910만6415주는 상장 후 5년까지 보호예수로 묶여 있다.
샌즈랩은 6부터 이틀간 코스닥시장 상장을 위한 일반 청약을 받는다. 상장예정일은 2월15일이다.
2004년 연세대학교 학생벤처로 시작한 샌즈랩은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악성코드 등 사이버 위협 정보를 자동으로 분석하고, 솔루션을 생성하는 등 CTI를 제공하는 사이버 보안 솔루션 전문기업이다.
주관사인 키움증권에 따르면 샌즈랩은 일반공모주 청약 첫째날인 이날 오후 2시 기준 9.01대 1의 경쟁률을 나타내고 있다.
![]() |
글로벌 탄소나노튜브 전문기업 제이오는 지난 1~2일 이틀에 걸쳐 실시한 수요예측을 통해 공모가를 희망밴드(1만~1만3000원) 상단인 1만3000원으로 확정했다고 6일 밝혔다.
이번 수요예측에는 총 1174개의 기관이 참여해 352.61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공모가가 상단으로 결정됨에 따라 제이오의 총 공모금액은 520억원으로 확정됐다.
1994년 설립된 이 회사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탄소나노튜브를 대량 생산하는 데 성공했다. 국내외 주요 전지업체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탄소나노튜브는 2차전지의 소재성능을 보완하는 핵심 재료다. 양극재, 음극재 성능을 강화하는 데 사용한다.
제이오는 지난해에 이어 IPO(기업공개)에 재도전하는 기업이다. 지난해 11월 수요예측에서 흥행에 실패해 공모를 철회한 뒤 공모가를 낮춰 다시 상장에 나섰다. 제이오의 예상 시가총액은 5000억~6000억원에서 3136억~4077억원으로 32~37% 줄었다.
제이오의 일반 투자자 청약은 7일부터 이틀간 진행되며 주관사는 한국투자증권이다.
![]() |
5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오아시스는 이달 7∼8일 수요예측, 14∼15일 일반 청약을 거쳐 이달 중 코스닥시장에 상장한다.
오아시스의 희망 공모가는 3만500∼3만9천500원이며, 이에 따른 예상 시가총액은 9천679억∼1조2천535억원이다.
이 회사는 작년 3분기 누적 매출 3천118억원과 영업이익 77억원을 기록했다. 온·오프라인 플랫폼에서 시너지가 있고, 이커머스 기업 중 유일하게 흑자를 낸다는 것이 경쟁력으로 꼽힌다.
다만 연초 성공적인 증시 데뷔에 성공한 업체들은 공모가 기준 시총 2천억원 미만의 중·소형주였기 때문에 시총 1조원 상당의 오아시스까지 훈풍이 이어질지가 변수다.
서용덕기자 sydkjs@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