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란을 불러일으킨 도시철도 4호선 엑스코 노선에 대해 대구시가 수정안을 내놨다. 경북대의 사실상 정문 역할을 하는 북문 앞으로 정거장을 옮기고, 경대교역을 추가 설치키로 했다. 경북대와 옛 경북도청(현 대구시 제2청사) 접근성을 고려한 결정으로 보인다. 여기다 엑스코역 이격거리를 당초 500m에서 300m로 줄여 조금 더 가깝게 들어서도록 했다. 당초 대구시 노선도는 '엑스코 노선에 엑스코가 없다'는 비판을 받았다. 이와 함께 엑스코선 명칭을 아예 도시철도 4호선으로 공식 변경키로 했다.
시의 이번 결정은 일종의 고육지책이다. 엑스코를 중심으로 한 종합유통단지 전체로 보면 도시철도가 완전 비켜나 있다는 아쉬움이 있다. 지하철이 아닌 지상철이라 굴곡 노선을 편의대로 설계하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여기다 전철 방식도 기존 3호선 모노레일이 아닌 경전철(AGT)을 고수키로 했다. 모노레일을 독점 공급하는 일본의 히타치사(社)가 한국의 형식승인 절차를 비용이 든다는 이유로 거부하고 있는 배경이 있다. 도시철도는 수백만 명이 오가는 거대 메트로폴리탄의 핵심 인프라이다. 일반 도로, 버스 승용차와의 정밀한 연계가 필요하다. 대구시가 이번에 다시 한번 운을 뗀 미래 5호선(대구순환선), 6호선(수성남부선)의 기본방향도 그래서 주목된다. 대구시는 장기 도시철도 건설에서 인구 450만명을 가정해 수립해 왔다. 대구 인구는 250만명을 정점으로 줄고 있다. 현재의 1~3호선 운영에만 연간 2천억원의 적자가 발생한다. 한편 도시철도는 노인·어린이·학생, 중산층 이하 시민의 발이 되는 교통복지이다. 경제성과 복지의 양 측면이 있다는 뜻이다. 그래서 더더욱 면밀하고도 치밀한 장기계획이 중요하다.
시의 이번 결정은 일종의 고육지책이다. 엑스코를 중심으로 한 종합유통단지 전체로 보면 도시철도가 완전 비켜나 있다는 아쉬움이 있다. 지하철이 아닌 지상철이라 굴곡 노선을 편의대로 설계하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여기다 전철 방식도 기존 3호선 모노레일이 아닌 경전철(AGT)을 고수키로 했다. 모노레일을 독점 공급하는 일본의 히타치사(社)가 한국의 형식승인 절차를 비용이 든다는 이유로 거부하고 있는 배경이 있다. 도시철도는 수백만 명이 오가는 거대 메트로폴리탄의 핵심 인프라이다. 일반 도로, 버스 승용차와의 정밀한 연계가 필요하다. 대구시가 이번에 다시 한번 운을 뗀 미래 5호선(대구순환선), 6호선(수성남부선)의 기본방향도 그래서 주목된다. 대구시는 장기 도시철도 건설에서 인구 450만명을 가정해 수립해 왔다. 대구 인구는 250만명을 정점으로 줄고 있다. 현재의 1~3호선 운영에만 연간 2천억원의 적자가 발생한다. 한편 도시철도는 노인·어린이·학생, 중산층 이하 시민의 발이 되는 교통복지이다. 경제성과 복지의 양 측면이 있다는 뜻이다. 그래서 더더욱 면밀하고도 치밀한 장기계획이 중요하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