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와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청이 롯데쇼핑 측과 수성알파시티 내 롯데몰 조성사업을 재촉하기 위한 합의각서를 지난 10일 체결했다. 홍준표 대구시장이 롯데의 불성실을 이유로 부지환수와 사업 취소 등의 강경 발언을 쏟아낸 뒤 이뤄진 새로운 합의다. 롯데몰은 부지매입 후 10년 가까이 표류한 데다 흉내 내기식 터파기 공사만 1년 이상 진행돼 사업의 진정성이 의심돼 왔다. 이번 합의각서에는 사업이 계속 미뤄질 경우 지연보상금을 부과하고 완공 시점을 3년 뒤인 2026년 6월 말로 못 박았다. 얼마나 구속력 있게 효력을 발휘할지는 미지수이지만 이로써 롯데몰 논란은 일단 봉합된 셈이다. 이 사안은 두 가지 측면에서 바라봐야 한다. 지역공동체의 기대감을 충족시키는 동시에 기업의 성공도 감안해야 한다. 먼저 대구시와 대구시민 입장에서는 대그룹의 투자를 믿고 수성구의 7만7천㎡ 대규모 노른자위 땅을 준 만큼 이에 상응하는 기업의 적극적 의지가 요구된다. 향후 과제로 떠오른 롯데쇼핑의 대구현지 법인화는 그런 기대의 당연한 결과물이 되어야 한다. 지역에서 대형 매출을 올리는 유통업체 현지 법인화는 대구신세계나 광주신세계에서 보듯 일종의 추세이다. 기업의 지역공헌 척도가 되고 있다. 롯데는 이 부분을 심사숙고해 전향적으로 결론을 내려야 할 것이다.롯데 측도 시장 수요나 자금 등 기업 내부 사정이 있다면 적극적인 양해를 구하고 미래 청사진을 확실히 밝히는 것이 수순이다. 부산의 롯데타워 논란이나 대구 롯데몰처럼 관(官)이 압박하니 뒤늦게 대표가 와서 부랴부랴 사업을 확약하는 것은 대기업의 위상에 걸맞지 않다. 기왕 야심 찬 랜드마크 복합문화공간을 짓겠다고 한 만큼 계약에 따른 신의성실의 원칙을 보여줘야 할 것이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