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2차전지 특화단지로 포항이 주목받고 있다. 지난해 경북도와 함께 '경북 2차전지 혁신 거버넌스'를 출범시킨 포항시는 특화단지 유치를 통해 '제2의 영일만 기적'을 이루겠다는 야심 찬 목표를 세웠다. 포항의 자신감은 영일만산단과 블루밸리국가산단을 잇는 배터리 밸류체인에 근거한다. 포스코퓨처엠과 에코프로 등 글로벌 양극재 핵심기업은 물론, 전후방 관련 기업들이 밀집해 있기 때문이다.
특히 양극재 생산량은 국내 최대 규모이며, 전구체·리사이클링을 통한 원료 생산량도 타 지역을 압도한다. 게다가 영일만4산업단지에는 포스코퓨처엠이 6만t 규모의 양극재 생산공장을 건립 중이다. 연내 완공되면 내년부터 양극재 생산을 본격화한다. 연간 15만t의 양극재를 생산하고 있는 에코프로도 2027년까지 50만t 추가 생산을 위한 신규 공장 건립에 착수했다. 아울러 글로벌 전구체 생산 1위 기업인 중국 CNGR를 유치하는 데 성공했다. 영일만산단에 들어서는 소재 공장에서는 35만t 규모의 황산니켈과 전구체가 생산된다.
배터리 핵심 소재인 양극재와 음극재를 바탕으로 국내 배터리 3개사에 대한 납품도 활발하다. 포스코퓨처엠과 에코프로그룹은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 등 탄탄한 공급체계를 마련해 두고 있다. 또 포스텍을 비롯한 4개 대학과 마이스터고 2개교에서 충분한 엔지니어 인력을 양성할 수 있다는 점도 장점이다. 동해안 유일의 컨테이너항만인 영일만항도 존재가치가 부각되고 포항가속기연구소 등 연구개발 인프라 역시 밀접돼 있다. 그야말로 포항은 특화단지 지정에 필요한 모든 조건을 갖추고 있다고 해도 과언 아니다. 마창성 동부지역본부 부장
특히 양극재 생산량은 국내 최대 규모이며, 전구체·리사이클링을 통한 원료 생산량도 타 지역을 압도한다. 게다가 영일만4산업단지에는 포스코퓨처엠이 6만t 규모의 양극재 생산공장을 건립 중이다. 연내 완공되면 내년부터 양극재 생산을 본격화한다. 연간 15만t의 양극재를 생산하고 있는 에코프로도 2027년까지 50만t 추가 생산을 위한 신규 공장 건립에 착수했다. 아울러 글로벌 전구체 생산 1위 기업인 중국 CNGR를 유치하는 데 성공했다. 영일만산단에 들어서는 소재 공장에서는 35만t 규모의 황산니켈과 전구체가 생산된다.
배터리 핵심 소재인 양극재와 음극재를 바탕으로 국내 배터리 3개사에 대한 납품도 활발하다. 포스코퓨처엠과 에코프로그룹은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SK온 등 탄탄한 공급체계를 마련해 두고 있다. 또 포스텍을 비롯한 4개 대학과 마이스터고 2개교에서 충분한 엔지니어 인력을 양성할 수 있다는 점도 장점이다. 동해안 유일의 컨테이너항만인 영일만항도 존재가치가 부각되고 포항가속기연구소 등 연구개발 인프라 역시 밀접돼 있다. 그야말로 포항은 특화단지 지정에 필요한 모든 조건을 갖추고 있다고 해도 과언 아니다. 마창성 동부지역본부 부장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