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닫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
    밴드
  • 네이버
    블로그

https://m.yeongnam.com/view.php?key=20230414001340124

영남일보TV

[영상뉴스] 좀비로 만드는 '마약', 위험한 대한민국 아이들

2023-04-14 13:45

 


지난 4월 3일 오후 서울 강남 대치동 학원가 중심에서 학생들을 대상으로 '마약 음료수'가 배포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4명의 일당은 강남구청역과 대치역 인근에서 고등학생들에게 '집중력 강화 음료' 시음 행사를 가장해 마약이 든 음료수를 건넸다.

13일 기준 확인된 피해자는 자녀가 가져온 마약 음료를 나눠 마신 학부모 1명을 포함해 모두 8명이다.

경찰은 이들이 발신지가 중국인 국제전화를 이용해 학부모를 협박한 점, 보이스피싱 조직과 직·간접적으로 연결된 점 등을 토대로 마약을 동원해 피싱 사기를 벌인 신종 범죄로 파악하고 있다.

입시에 지친 학생들에게 집중력을 강화해준다는 미끼로 불특정 청소년에게 마약이 든 음료를 먹인 후 피해자 가족에게는 금품을 요구했다는 점에서 한국 사회는 큰 충격을 받았다.

또한 평소 사회 이슈에 관한 소신 발언을 해 온 것으로 유명한 배우 유아인 씨가 경찰 조사 의료용 마약류인 졸피뎀, 프로포폴, 대마, 코카인, 케타민 투약한 것으로 밝혀졌다. 언론 보도를 통해 유명 연예인의 마약 관련 사건은 사회적 이슈가 되곤 했다.

그러나 이번 강남 마약 음료수 사건을 접한 한 시민은 “우리나라도 더 이상 마약에서 안전하지는 못할 것이라고 예상은 했으나, 이렇게까지 생활 가까이 들어왔으리라고는 상상을 못 했다”라며 놀라워했다.

2004년 이후 좀비 아포칼립스 물이 유행하고 있다.  새벽의 저주를 비롯한 여러 블록버스터급 좀비 영화의 흥행 성공으로 메이저 장르로 등극하며, 한국 영화에서도  부산행, 창궐, 그리고 킹덤과 같은 좀비물이 나오며 좀비 붐이 일어났다.

 

2012년 5월 27일(현지 시각) 미국 플로리다주 마이애미 고속도로 진입로에서 좀비 영화 속에서 나 올 법한 충격적인 사건이 발생했다. 바로 벌거벗은 루디 유진(Rudy Eugene)이 다른 남자의 얼굴을 물어뜯어 먹은 것이었다.

루디는 신고를 받고 출동한 경찰의 제지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계속 사람의 얼굴을 뜯어 먹다가 결국 경찰에게 사살됐다.

이 사건으로 피해자의 얼굴 피부 75%와 코가 없어졌다. 2012년 6월 11일 범인의 부검 결과 그의 위에는 인육은 없었고, 이 사이에 낀 것이 전부이고 마약에 중독되었다는 증거는 찾지 못했다고 했다.

그러나 이 잔혹한 식인 사건으로 미국 사회의 불안이 확산되자 급기야 미정부에서는 범인이 좀비가 되어서가 아니라, Flakka(플래카)라고 하는 환각성이 극도로 강한 신종 마약 복용으로 환각에 취해 저지른 범행이라고 발표했다.

이렇듯 마약은 인간의 영혼을 갉아먹고, 좀비처럼 변하게 만든다. 좀비도시라고 알려진 미국 필라델피아 ‘켄싱턴’에는 마약 중독자들이 마치 영화 속 좀비처럼 거리를 배회하고 있다.

중독자들은 시장, 봉사자, 경찰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치료를 거부하거나 포기 한 채로 거리에서 노숙자로 살아가고 있다. 그들은 특별한 사람들이 아니라. 이웃이며 누군가의 아들, 딸로 평범한 일상을 살아가던 사람들이었다.

켄싱턴 마약 중독자들의 모습이 먼 나라 우리와는 상관없는 사람들의 모습이 아니다. 대한민국의 미래가 될 수도, 우리 아이들의 모습이 될 수도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최근 외국 유학생이나 취업을 위해 입국한 외국인이 마약을 국내로 밀수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고, 다양한 신종 마약 범죄가 늘어나고 있다. 심지어 청소년들이 주를 이루는 학원가에도 마약 음료수가 침투했다.

이에 지난 12일 한동훈 법무부 장관은 “대한민국은 원래 이런 나라가 아니었다”며 “지금 막지 못하면 나중에는 회복이 불가능한 상황이 될 것이고, 이 시기를 돌아볼 때 정말 후회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윤석열 대통령도 지난 6일 "검경은 수사 역량을 총동원해 마약의 유통·판매 조직을 뿌리 뽑고 범죄 수익을 끝까지 추적해 환수하라"고 지시하며 "마약이 고등학생들에게까지 스며든 충격적인 일"이라고도 지적했다.

이제 국가와 사회는 ‘마약 청정국’이라는 환상에서 깨어나, 특단의 대책을 세워야 할 것이다.

 

한유정기자 kkama@yeongnam.com
 

기자 이미지

한유정

까마기자 한유정기자입니다.영상 뉴스를 주로 제작합니다. 많은 제보 부탁드립니다.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영상 인기기사

영남일보TV

부동산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