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시·포항시의회·포항상공회의소 공동주관 포스코 정비자회사 설립 관련 간담회 개최
![]() |
포항시는 11일 포항상공회의소에서 포항시, 포항시의회, 포항상공회의소 공동주관으로 지역 소상공인 및 납품업체의 보호를 위한 ㈜포스코 정비자회사 설립 관련 간담회를 개최했다. <포항시 제공> |
포스코가 다음 달 정비 자회사를 설립해 출범시킬 예정인 가운데 경북 포항시와 시의회, 포항상공회의소가 기존 포항제철소 정비 부문 협력사나 소상공인 피해를 줄이기 위해 대책 마련을 요구하고 나섰다.
포항시와 시의회, 포항상의는 11일 포항상의에서 포스코, 포스코의 구매담당 자회사인 엔투비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포스코 정비 자회사 설립 관련 간담회를 열었다.
포스코는 6월 1일에 포항제철소 정비부문 협력사 12곳을 대신할 정비 자회사 3곳을 설립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그동안 포항제철소 유지보수 업무를 맡은 기존 협력사는 인력과 기술, 자산을 넘겨야 할 상황에 놓였다.
그동안 협력사에 각종 기자재 납품을 맡은 포항지역 소상공인은 정비 자회사 설립으로 엔투비를 통한 전자상거래 플랫폼 거래가 의무화돼 납품 기회가 사라질까 우려하고 있다.
포항시가 조사한 통폐합 협력사별 지역 내 소상공인 거래현황에 따르면 기존 12개 협력사 중 6개 사와 거래하는 지역 소상공인 및 납품업체의 수는 264개, 거래 규모는 163억 원 정도로 파악됐다.
이를 12개 협력사로 확대할 경우 그 규모는 2배 이상이 될 것으로 추정되며, 지역경제의 연쇄적인 파급효과를 감안하면, 그 피해는 훨씬 더 심각할 것으로 예상된다.
포스코는 최근 자회사 설립 과정에서 기존 협력사들과 거래해온 포항 소상공인과 거래관계를 유지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시나 시의회 등은 협력사 사주나 소상공인 피해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고 충분한 보상과 계약 유지 명문화 등을 요구했다.
김남일 포항시 부시장은 "협력사에 대한 충분한 보상과 협력사 직원의 자회사 고용 보장이 필요하고 소상공인 피해를 막기 위한 제도를 명문화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백인규 시의회 의장은 "기존 협력사와 거래하던 지역 소상공인 및 납품 업체의 거래현황 등을 상세히 파악해 소상공인 구제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며 "엔투비의 최대 주주인 포스코 측에서 더욱 적극적으로 나서서 기존 엔투비 하에서의 포항지역 물품 구매 확대 방안 및 수의계약 기준금액 상향 방안을 마련해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충도 포항상공회의소 회장은 "통폐합 대상인 협력사에 대해서는 감정사가 감정해서 보상하겠지만 영업권에 대해서는 충분히 고려해 보상해주기를 바란다"며 "포항상의도 포항시 및 포항시의회와 함께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도움으로 지역 소상공인에게 든든한 울타리가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포스코와 엔투비 측은 정비 자회사에 대해서는 기존 포항지역 소상공인과 구매방식과 규모를 유지하겠지만 당장 문서로 남기기는 어렵다고 밝혔다.
포스코 관계자는 "전체적으로 포항에 좋은 일자리가 늘고 처우가 개선된다"며 "물품 구매와 관련해 당장 구체적인 방법을 말하기는 어렵지만 숙제로 삼고 방법을 찾아보겠다"고 말했다.
마창성기자 mcs12@yeongnam.com

마창성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