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쟁력 높은 도시 2~3곳 묶는
초광역사업으로 추진 가능성
![]() |
지난 17일 서울스퀘어에서 열린 국가 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전략 발표평가에 참석한 경북도와 포항시, 구미시, 상주시 관계자들이 손을 모으고 있다. 경북도 제공. |
구미와 포항·상주시가 도전장을 내민 반도체·2차전지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사업이 초광역권으로 추진될 가능성이 제기됐다.
영남일보 취재에 따르면 정부가 반도체 특화단지를 초광역 사업으로 추진할 것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경기지역 2~3곳을 선정해 한데 묶고, 비수도권에는 구미를 선정하는 시나리오다.
정부 관계자는 21일 영남일보와의 통화에서 "반도체의 경우 지역별로 인프라 등 편차가 크다"며 "비수도권에선 구미가 유력해 보이고, 수도권은 경기 남부권 등 초광역으로 추진될 수도 있다"고 밝혔다.
반도체 특화단지는 구미를 비롯해 15곳이 도전장을 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있는 경기도에선 고양·남양주·성남·안성·이천·평택·화성 등 7곳이 신청했다.
포항(양극재)과 상주시(음극재)가 도전장을 던진 2차전지 분야도 초광역 사업으로 추진될 가능성이 높다. 또 2차전지 분야를 신청한 지자체 모두 경쟁력이 높아, 선정 발표가 당초 6월이 아닌 7월로 연기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경북도 관계자는 "발표가 7월로 연기될 수 있다는 소식에 에코프로 그룹 이동채 전 회장의 구속이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했다"면서 "그러나 신청 지자체 모두 경쟁력이 높아 선정 심의에 시간이 걸린다고 보는 게 더 타당하다"고 설명했다. 에코프로 이 전 회장은 미공개 정보를 이용해 11억원 상당의 부당이득을 챙긴 혐의로 최근 법정 구속됐다.
또 다른 정부 관계자는 "2차전지의 경우 초광역 사업 추진 가능성이 반도체 보다 높은 만큼 포항과 울산을 한데 묶을 수 있다"고 전망했다. 2차전지 분야에는 포항과 상주, 울산, 충북 청주, 전북 군산 등 5곳이 경쟁하고 있다.
산업부 실무담당자는 "국가첨단전략산업위에서 6월에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라면서도 "확정된 것은 아니고 발표가 늦어질 수도 있다"고 했다. 초광역 사업 추진 여부에 대해선 "검토할 수 있겠지만 결정된 건 아무것도 없다"고 덧붙였다.
한편, 특화단지에 선정된 지역에는 인·허가 신속 처리, 용수·전력 등 기반시설 구축, 연구·개발(R&D) 지원, 세액공제와 부담금 감면 등의 혜택이 제공된다. 또 입주기업에 대한 세제 지원 혜택에 따라 반도체·디스플레이·배터리 관련 기업의 투자를 유도할 수 있는 장점도 갖고 있다.
구경모기자 chosim34@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