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손병현기자〈경북부〉 |
경북 영주시가 염원했던 '경북안전체험관' 유치가 물거품이 됐다. 최근 경북도가 사업 부지로 상주와 안동을 최종 선정하자 지역에선 허탈감을 넘어서 정치력 부재에 대한 비판도 흘러나온다.
과거 수차례 공공기관 유치 실패 사례까지 거론되면서 정부뿐만 아니라 경북도도 영주를 변방으로 치부한다는 주장도 있다. 실제 탈락 소식에 지역 SNS에선 '영주는 뭘 해도 안 돼' '영주는 왜 모든 걸 다른 지역에 빼앗기니 참 안타깝다' '지역 정치권에선 뭘 하는 건지… 답답하다' 등의 글이 이어지고 있다.
일각에선 이번 실패를 반면교사로 삼아 정확한 패인을 분석하고 차별화된 전략을 세워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앞서 영주시는 2002년 '한방연구단지'와 2005년 '혁신도시', 2007년 '국군체육부대' 유치 등에 실패했다.
그나마 다행인 소식은 지역의 최대 역점 사업인 '영주 첨단베어링 국가산업단지 조성사업'이 최근 중앙토지수용위원회의 공익성 심의에 통과해 국토교통부의 계획 승인이 임박했다는 것이다. 이대로라면 다음 달 승인이 고시되면 내년에 착공해 2027년 완공될 것으로 보인다.
이런 가운데 정부는 올해 상반기에 예정된 '제2차 공공기관 지방 이전 계획 수립 및 발표'를 앞두고 있다. 영주시는 최근 전국 17개 지자체와 함께 혁신도시 위주의 공공기관 이전 정책에 공동 대응하고자 국회에서 공동기자회견도 열었다.
이날 공동 성명서를 통해 "공공기관 이전이 지방소멸 위기 극복을 위한 마지막 남은 대안"이라며 인구감소도시 우선 배치를 강력히 촉구했다. 전국에는 많은 인구감소도시가 있다. 이날 참여한 경북 도내 지자체도 영주시를 포함해 5곳이나 된다.
영주시는 공동기자회견을 넘어서 공공기관이 왜 영주로 이전해야 하는지, 어떤 기관이 왔을 때 지역과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지에 대해 면밀한 분석과 구체적 실행 방안을 조속히 마련해야 한다.
이번 '경북안전체험관' 최종 후보지에 오른 안동시는 지난달 2차 공공기관 유치와 관련한 정책 토론회도 가졌다. 그리고 지역과 함께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구체적인 분야를 선정해 집중하고 있다고 한다. 이를 허투루 봐선 안 된다.
영주시는 KT&G를 비롯해 과거 굵직굵직한 공공기관과 대기업을 유치한 경험이 있다. 이번엔 반드시 그 성공의 경험을 살려 더 이상의 실패는 맛보지 않기를 바란다.
손병현기자〈경북부〉

손병현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