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방탄 국회냐, 부패 정당 오염이냐
국민의힘, 자멸 아닌, 국민 눈높이 선택
더불어민주당 전당대회 돈봉투 의혹으로 구속영장이 청구된 무소속 윤관석·이성만 의원에 대한 체포동의안 표결을 앞두고, 여야가 긴장하고 있다.
민주당은 자율투표 방침을 밝혔지만 체포동의안이 찬·반 결과에 따른 후폭풍을 가늠할 수 없는 만큼 내부갈등만 커지고 있다. 부결 시 방탄 국회 오명을, 가결 시 부패 정당이라는 프레임에 갇히게 되기 때문이다.
국민의힘도 체포동의안에 대한 결과에 따라 대야 투쟁의 원동력 중 한 축을 상실한다는 점과 검찰 수사의 중대 분수령이 된다는 점에서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정치권에 따르면 국회는 12일 열리는 6월 임시국회 첫 번째 본회의를 열고 두 의원의 체포동의안 표결 절차에 들어간다. 투표 결과는 예단할 수 없는 상황이다. 분명한 것은 민주당이 노웅래 의원 때처럼 반대 표를 던지기 어려울 것이라는 점이다. 향후 당내 연루자가 얼마나 더 나올지 알 수 없고, 최근 민주당을 탈당한 김남국 의원의 코인 사태 등 도덕성 논란을 부른 악재가 잇따르면서 당내 위기감은 어느 때보다 높은 상황이다.
검찰은 돈 봉투 의혹과 관련해 민주당 소속 의원이 최대 20명까지 연루된 것으로 의심하고 금품을 수수한 의원을 가려내는 작업에 주력하고 있다. 수사 결과에 따라 이들에 대한 체포동의안이 또 다시 제출될 경우 민주당은 감당하기 어려운 위기에 빠지게 된다. 검찰은 지난 5일 국회사무처를 압수수색해 국회의원 등 29명의 국회 본관과 의원회관 출입기록을 확보해 돈 봉투 수수 의심 의원들의 동선과 행적을 분석 중이다. 현역 의원을 상대로 한 돈 봉투 살포 시기를 전당대회 직전인 2021년 4월 28~29일로 특정했고, 돈 봉투가 두 차례 10개씩 윤관석 의원을 거쳐 의원들에게 흘러간 것으로 파악했다.
두 의원의 구속영장이 발부된다면 검찰은 금품을 수수한 현역 의원을 차례로 소환하는 등 수사에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또 의혹의 정점에 있는 송영길 전 대표 소환도 현실화 될 전망이다. 하지만 체포동의안이 가결되더라도 법원에서 기각할 경우, 검찰과 여당은 야당을 탄압했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게 된다.
국민의힘은 두 의원의 체포동의안 가결을 압박하고 나섰다. 전주혜 원내대변인은 11일 논평에서 "과연 민주당이 이번에도 '내로남불 방탄대오'에 나설지 귀추가 주목된다"며 "쩐당 대회 사건에 이어 김남국 의원 코인 투자, 이래경 전 혁신위원장 사태까지 터진 민주당이 제 식구 감싸기를 계속한다면 결국 국민적 저항에 부딪히고 말 것이다. 민주당은 자멸의 길이 아닌, 국민 눈높이에 맞는 현명한 선택으로 환골탈태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임호기자 tiger35@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