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행위 면적은 전국서 가장 넓어
대구는 3천677건, 8대 특광역시중 4위
![]() |
<국토교통부 제공> |
![]() |
지난해 경북에선 총 2만 3천여건의 개발행위허가가 나 전국에서 2번째로 많은 것으로 파악됐다. 개발행위면적은 전국에서 가장 넓었다.
전국적으로는 24만3천여건의 개발행위허가가 났다. 이는 전년보다 11.5% 나 줄어든 것으로 부동산 경기침체의 영향으로 보인다.
국토교통부와 한국국토정보공사는 18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2년 도시계획현황 통계'를 발표했다.
지난해 개발행위허가는 24만3천605건으로 집계됐다. 개발행위허가는 난개발 방지를 위해 개발행위를 하고자 하는 경우 지자체장(허가권자)의 허가를 받도록 한 제도다.
개발행위 면적은 2천10㎢로 9.9% 감소했다. 부동산 경기 침체여파로 토지 거래와 건축 행위가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개발행위 유형별로는 건축물 건축이 13만7천615건(56.5%)으로 가장 많았고, 토지 형질변경과 토지분할은 각각 6만4천710건(26.6%), 2만7천190건(11.2%)이다.
지난해 개발행위허가가 가장 많았던 곳은 경기도(6만5천750건·26.9%)이다. 이어 경북(2만3천858건), 강원(2만1천33건), 경남(2만456건), 충남(1만9천955건) 등의 순이다.
대구는 3천677건이 허가됐다. 8대 특·광역시중에는 서울(9천935건), 인천(9천648건), 부산(4천243건)에 이어 4번째로 많다.
개발행위허가 건수는 2016∼2018년까지는 30만건대를 기록하며 정점을 찍었다. 하지만 이후 코로나 19팬데믹과 부동산 경기 등의 영향으로 하향곡선을 그렸다.
시·군·구별로 살펴보면 경기 화성의 개발행위허가가 1만2천813건으로 기초지자체 중 1위다. 이어 경기 양평이 6천744건으로 2위, 인천 강화는 6천141건으로 3위를 차지했다.
개발행위 면적은 경북이 476.4㎢(23.7%)로 가장 넓었다. 시·군·구별로는 포항(335.2㎢·1천708건)이 가장 넓었다.
이어 인천 중구(213.6㎢·459건), 충남 공주(85.5㎢·1천85건 ) 순이다.
최수경기자 justone@yeongnam.com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