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 14일 경북 고령군의 한 사설 농장에서 우리를 벗어났다가 엽사의 총에 맞아 사살된 암사자. 고령소방서 제공 |
동물보호단체가 최근 대구경북(TK) 지역에서 잇따라 발생한 동물들의 탈출 사건과 관련, 정부에 야생동물 사육 기준 강화를 요구하고 나섰다.
동물자유연대는 15일 보도자료를 내고 "대구 달성공원에서 탈출한 침팬지가 마취총을 맞고 사망한 사건에 이어 경북 고령군에서 목장에서 키우던 암사자가 탈출한 지 한 시간 만에 사살된 사건이 발생해 많은 사람들이 안타까워 하고 있다"며 이같이 요구했다.
![]() |
11일 오전 대구 중구 달성공원에서 침팬지 2마리가 탈출했다가 포획됐다. 대구경찰청 제공 |
동물자유연대는 "그 결과 이번에 사살된 사자는 전시 용도로 사육 허가가 이뤄졌고, 동물원법이 제정된 2017년 이전부터 사육하던 개체로 절차상 문제가 없다는 답변을 받았다"면서도 "위법 사항이 없다고 해서 문제가 없다는 뜻은 아니다. 동물의 본능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열악한 환경에서 20년 넘게 길러도 지금의 법으로는 아무런 규제도 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해당 시설은 맹수류인 사자가 살기에 믿기 어려울 만큼 비좁았고, 그 안에는 동물이 무료함을 해소하거나 습성을 충족할 수 있는 조형물 하나 놓여있지 않았다"며 "어떠한 충족도 느끼지 못하는 곳에서 죽음보다 나을 게 없었을 지난 시간은 이번 사자 탈출 사건이 어쩌다 발생한 우연이 아님을 보여준다"고 했다.
이들은 사자 포획 과정에도 문제점이 있다고 지적했다. 동물자유연대는 "허술한 현행법은 전국 곳곳에 야생동물 사육·전시 시설이 산재하도록 방치했으나, 정부는 몇 개의 시설에서 얼마나 많은 동물이 사육되는지 파악조차 못하고 있다"면서 "동물 탈출 사건이 연이어 발생해도 인도적으로 포획하는 방법이나, 포획한 동물에 대한 대처 방안은 사실상 부재한 상황"이라고 비판했다.
이와 함께 "야생동물이 시설을 이탈할 경우 사살이 능사라는 인식을 버리고 인도적인 포획을 위한 전문화된 대안 수립도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민경석기자 mean@yeongnam.com

민경석
민경석 기자입니다. 제보를 기다립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