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대형 스마트팜' 북부권, 남부권, 중·동부권 등 권역별로 추진
유통·축산도 스마트 농업으로 전환…스마트팜유통센터, 첨단축사 확대
![]() |
이철우 경북도지사와 김주수 의성군수 등이 경북지역 스마트팜 농장을 찾아 청년농부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영남일보 DB> |
경북도가 관행 농업에서 탈피한 '첨단 농업'으로의 전환을 가속하기 위한 시책을 발표하고, 이를 본격 추진 한다고 24일 밝혔다.
특히 적은 노동력과 생산비로 최대의 수확을 얻고, 기후에 영향을 덜 받거나 재배 환경을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있는 '스마트팜' 확대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이에 도는 큰 비용이 들어가는 스마트팜을 농업인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임대형스마트팜'을 스마트팜혁신밸리를 거점으로 해 권역별로 확대키로 했다. 주요 거점은 북부권 예천·봉화, 남부권 영천, 중·동부권 구미·울진이다.
청년보육센터를 통해 20개월의 교육 후 매년 50여 명의 수료생을 배출하고 있는 상주 스마트팜혁신밸리에서는 수료생들이 임대형스마트팜에 입주해 3년간 스마트팜을 경영하며 종잣돈과 재배 경영 실력을 쌓게 된다.
도는 권역별 임대형스마트팜 조성을 통해 이 같 선순환 고리를 안정적으로 구축하게 되면, 청년 농업인들이 지역에 정착해 영농활동을 이어 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스마트팜을 건립할 때 가장 큰 걸림돌이 되는 부지 확보를 위해 농어촌공사에서 농지를 장기 임대하는 사업에 참여, 상주 함창읍에 4.5ha의 스마트팜 부지를 조성하고, 향후 시·군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아울러 도는 온실 스마트팜에서 한발 더 나아가 농지 면적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노동력이 많이 요구되는 노지 품목까지 스마트 농업의 영역을 확장할 계획이다.
올해 농림축산식품부 노지스마트농업 시범사업으로 선정된 경북도는 의성군 사곡면 95ha 일대에 3년간 총 245억 원을 투자해 스마트 관수, 자율주행 트랙터와 연계한 스마트 농기계 등을 지원한다. 또 기업이 노지 스마트 기자재를 실증할 수 있는 실증단지도 조성한다.
앞서 도는 안동 사과 스마트농업 시범사업을 통해 사과 스마트팜 모델을 구축한 바 있으며, 이를 통해 구축된 모델을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사과 주산지로 확대 보급할 예정이다.
김주령 경북도 농축산유통국장은 "경북의 사과 생산량이 전국의 약 60%를 차지하고 있어 경북에서 앞장서 사과 스마트팜을 확대 보급한다면 우리나라 사과 산업의 대전환을 이끌 수 있다는 것"이라고 기대했다.
도는 또 첨단 농업을 생산뿐 아니라 유통, 축산 분야에도 적용키로 했다.
내년에 총 209억 원을 투입해 센서와 로봇을 이용해 저장, 선별, 포장이 정밀하게 자동화되는 스마트농산물산지유통센터(APC)를 도내 5개소(상주 2곳 경주, 경산, 성주)에 건립할 예정이다.
축산 분야에서는 연간 100억 원 규모를 투입,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해 원격으로 제어하고 모니터링할 수 있는 첨단 축사 관리시스템을 구축한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농촌 인구 감소 및 고령화, 기후변화로 인한 농산물 수급 불안정 등 위기 상황에서 노동과 경험에 의존하는 관행 농업으로는 성장에 한계가 있다"며 "첨단기술이 접목된 농업 모델을 경북도 전체, 대표 품목에 적용할 수 있도록 속도를 내겠다"고 밝혔다.
임성수기자 s018@yeongnam.com

임성수
편집국 경북본사 1부장 임성수입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