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육과정평가원, 4일 채점결과 발표
영어는 난도 급등해 1등급 비율 2018학년도 후 가장 낮아
수학 안 치는 수험생 비율 5.3%...8년 만에 최고
![]() |
2024학년도 수능 9월 모의평가가 실시된 6일 오전 대구 수성구 대구여고 고3 학생들이 1교시 국어영역 문제를 풀고 있다. 영남일보 DB |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지난달 6일 실시한 2024학년도 수능 9월 모의평가 채점 결과를 4일 발표했다.
국어의 표준점수 최고점(통상 '만점')은 142점이다. 지난해 수능 당시(134점)보다 8점 올랐다. 표준점수 최고점을 받은 수험생은 135명으로 집계돼 지난해수능(371명)의 3분의 2 수준으로 줄었다.
표준점수는 수험생의 원점수가 평균 성적과 얼마나 차이 나는지 보여주는 점수다. 통상 시험이 어려워 평균이 떨어지면 표준점수 최고점은 상승하고, 시험이 쉬워 평균이 올라가면 표준점수 최고점은 하락한다. 표준점수 최고점이 140점대 이상이면 어려운 시험으로 통한다.
지난해 수능에서 국어는 평이한 편이었는데, 이번에는 교육부와 평가원, EBS, 입시업체들이 일제히 킬러 문항이 사라졌다고 평가했음에도 수험생 입장에선 만만치 않은 시험이었다는 뜻이다.
수학의 경우 표준점수 최고점은 144점으로, 지난해 수능(145점)보다 1점 하락했다. 특히 킬러 문항 배제로 4점짜리 주관식 문제가 쉽게 출제되면서 최상위권 변별력은 하락한 것으로 보인다. 수학 표준점수 최고점 인원은 2천520명으로 작년 수능(934명)의 2.7배로 급증했다.
영어 영역에서는 90점 이상으로 1등급을 받은 수험생 비율이 4.37%를 기록, 작년 수능(7.83%)보다 3.46%포인트 하락했다. 영어에 절대평가가 도입된 2018학년도 이후 이 비율은 9월 모의평가 기준으로 최소다. 수능, 6월·9월 모의평가를 통틀어 보면 2019학년도 6월(4.19%) 이후 가장 적다.
특히 2교시 수학 영역 응시를 선택하지 않은 수험생 비율이 8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올해 수능 응시 지원자(50만4천588명) 가운데 5.3%(2만6천505명)가 수학 영역을 응시하지 않겠다고 선택했다. 이 비율은 2016학년도(6.4%) 이후 최고다.
수학 미응시 수험생 비중이 확대된 것은 대입 수시 선발 비중(4년제 일반대 기준)이 역대 최고인 78.8%에 달하는 것과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 나온다. 통상 대학들은 수시 합격생의 경우 수능에서 2개 영역만 일정 등급(최저학력 기준) 이상의 성적을 요구한다.
차상로 송원학원 진학실장은 "킬러문항이 빠졌지만 전체적으로 상당히 변별력 있는 시험이었다"라면서 "올해 본수능은 9월 모평과 비슷하게 출제될 것으로 보고, 수험생들은 마무리 공부에 참고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효설기자 hobak@yeongnam.com

이효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