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이어 전국 두 번째로 인구소멸 시·군 많아
전문가 "광역시 인근 또는 관광지 효과 볼 듯"
"낙후지역 효과 미미...지자체 추가 방안 필요"
![]() |
경북의 인구소멸지역이 정부의 세컨드 홈 정책의 수혜지로 떠오를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영남일보 DB> |
대구에서 경북 안동으로 5년째 출퇴근하고 있는 유모(42) 씨는 정부의 '세컨드 홈' 정책 발표(영남일보 1월 9일자 6면 보도) 이후 주택 1채를 추가 매입하는 것을 고민 중이다. 유씨는 "대구와 안동에 주택을 소유해도 1주택자와 동일한 혜택을 받을 수 있다고 하니 솔깃하다"며 "주택을 구입하면 안동에 머무는 시간이 더 늘어날 것 같다"고 했다.
정부의 '세컨드 홈' 정책 발표 이후 경북지역 시군에선 침체에 빠진 부동산 시장이 되살아 날 것으로 기대하는 분위기다.
정부는 최근 비(非)인구감소지역 1주택자가 인구감소지역에 주택 한 채를 추가로 취득해도 1주택 특례를 적용하는 '세컨드 홈'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인구감소지역의 추가 주택에 한 해 재산세와 종부세, 양도세 등의 혜택을 주겠다는 것이다.
경북에선 인구감소지역 15개 시·군이 세컨드 홈 대상에 포함될 전망이다. 의성과 안동, 문경, 영천, 청도, 동해와 인접한 영덕과 울진이 다주택 세제 혜택 대상지로 분류된다.
인구 유출, 자연 감소로 인한 빈집 등으로 골머리를 앓고 있는 경북에서는 이번 정책이 민간 투자로 연결돼 지역 활성화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는 분위기다.
![]() |
경북지역 한 빈집. 영남일보DB |
![]() |
경북 안동시의 빈집.<영남일보 DB> |
경북지역에 1년 이상 방치된 빈집은 지난해 11월 기준, 1만2천채에 이른다. 지역별로는 의성이 1천223채로 가장 많고 포항(1천179채), 경주(1천3채), 영덕(890채)에도 상당수의 빈집이 방치돼 있다.
영덕에서 부동산중개업소를 운영하는 박모씨는 "바닷가와 인접한 영덕은 평소에도 세컨드 하우스로 주목받고 있는 만큼, 이번 정책의 수혜지로 손꼽힌다"고 기대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이번 정책이 일부 관광지나 대도시와 인접한 주택시장 부양에 효과가 있을 뿐 실질적인 농촌 활성화 효과는 미미할 것이라고 우려한다. 다만, 생활 인구 유입에는 일정 부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송원배 대구경북부동산분석학회 이사는 "광역시와 인접한 곳 또는 관광지는 세컨드 홈 정책에 따른 효과를 볼 수 있겠지만, 이미 낙후가 심각한 곳은 효과가 크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출향민이나 투자자들이 인구소멸지역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해당 지자체의 추가 지원 마련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오주석기자 farbrother@yeongnam.com

오주석
영남일보 오주석 기자입니다. 경북경찰청과 경북도청을 담당하고 있습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