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팜 수경재배, 수출 맞춤형 기술 개발로 매년 200억 파급효과 유발
디지털 로봇 기술 접목 대한민국 대표작목 참외, 세계 시장으로 수출 확대
![]() |
24일 경북농업기술원 성주참외과채류연구소에서 열린 '국가 대표 특화작목 전담 연구기관' 현판식에 참석한 조재호 농촌진흥청장, 정희용 국회의원, 강만수 경북도의원과 참외 명장 등이 테이프 커팅을 하고 있다. <경북도 제공> |
경북도는 경북농업기술원 성주참회과채류연구소가 '국가 대표 특화작목 전담 연구기관'으로 선정됐다고 24일 밝혔다.
'지역특화작목 연구개발 및 육성에 관한 법률' 시행에 따라 농촌진흥청 지역특화작목위원회에서 69개 지역특화작목을 대상으로 2021년부터 2023년까지 시장 규모화, 수출 경쟁력 등을 평가해 참외 등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9개 대표 작목을 선정했다.
경북 참외는 우수한 시장성과 미래 성장성은 물론 전국적으로 지역 대표 브랜드로 알려져 국가 대표작목에 선정됐다. 성주참외과채류연구소(이하 참외연구소)는 농가소득 증대, 지역발전 가능성 등 성장 잠재력을 높이는 연구 역량을 평가받아 참외 전담 연구기관으로 지정됐다.
특히 참외연구소는 스마트팜 수경재배 기술 개발로 참외 생산량을 1.7배 높였을 뿐 아니라 수출 확대를 위한 저장 기술 연구, 수출 적품종 선발, 참외요리 34종이 수록된 참외요리 레시피 책자발간 등을 통해 수출량을 2022년 312.7t에서 2023년 452.8t으로 증가시켰다. 호주와의 수출 검역 협상도 마무리돼 수출은 더 늘어날 전망이다.
국가 대표 특화작목 전담 연구기관으로 지정된 참외연구소는 앞으로 농촌진흥청, 대학, 기업체와 협력해 방제, 운반, 수확작업을 대체하는 농업로봇 활용 기술 개발을 통해 노동력 부족 문제를 해결할 방침이다. 또 단위 면적당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수직재배 시스템으로의 전환, 에너지 자립 기술 개발 등을 통해 2026년까지 참외 생산액 8천억원을 목표로 기술 개발에 나선다.
조영숙 경북도농업기술원장은 "경북도는 참외, 포도, 복숭아를 비롯한 다양한 지역특화작물의 탄탄한 생산 기반을 가지고 있지만, 노동인구 감소에 따른 일손 부족과 탄소중립, ESG 등 국제사회 규범 강화에 따라 디지털 기술 접목이 시급하다"면서 "로봇 기술과 새로운 참외재배 시스템을 적극 개발해 경북 참외가 대한민국 대표작목을 넘어 세계 시장에서 유통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임성수기자 s018@yeongnam.com

임성수
편집국 경북본사 1부장 임성수입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