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생·지방소멸 극복
17개 시·군 291억 투입
경북도는 올해를 'K-U시티 실행의 해'로 정하고, 지방 정주 시대 실현을 위해 사업추진에 속도를 낸다.
도는 저출생 및 지역소멸 위기를 극복하고 청년 지방 정주 시대 실현을 위해 지난해 협약을 체결한 도내 17개 시·군, 29개 대학, 30개 고교, 95개 기업과 K-U시티 프로젝트를 본격 실행한다고 25일 밝혔다. 17개 시·군과는 U시티를 구체화하고, 남은 5개 시·군에 대해서도 올해 내 U시티 컨설팅을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올해에만 지방소멸대응기금 등 291억원이 투입되는 이 사업은 △지역산업 기반 인재 양성(83억원) △연구지원센터 건립(60억원) △정주 환경 조성(140억원) △문화콘텐츠 활성화 사업(7억5천만원)을 지원한다.
도는 1시·군-1대학-1특성화(기업) 연계를 통한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 연구지원센터 조성을 추진한다. 또 기업 종사자와 학생들의 정주환경 조성을 위해 셰어 하우스 및 청년 레지던스, 임대주택 등도 조성한다.
특히 지방시대 선도모델 확산을 위해 항공 MRO(항공기 정비)와 항공 물류 등 항공산업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 신규로 'K-U시티 플러스 프로젝트'도 추진한다.
의성 공항신도시와 연계하는 이 프로젝트는 관련 기업 맞춤형 인력양성을 위한 공동캠퍼스 조성, 명품 주거단지 조성, 교육 및 문화공간 조성 등이 핵심이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경북도가 선도적으로 추진 중인 K-U시티 프로젝트를 통해 청년이 지역에서 배우고 일하고 결혼해 누리고 살 수 있는 청년 지방정주시대를 반드시 실현하겠다"고 강조했다.
임성수기자 s018@yeongnam.com
도는 저출생 및 지역소멸 위기를 극복하고 청년 지방 정주 시대 실현을 위해 지난해 협약을 체결한 도내 17개 시·군, 29개 대학, 30개 고교, 95개 기업과 K-U시티 프로젝트를 본격 실행한다고 25일 밝혔다. 17개 시·군과는 U시티를 구체화하고, 남은 5개 시·군에 대해서도 올해 내 U시티 컨설팅을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올해에만 지방소멸대응기금 등 291억원이 투입되는 이 사업은 △지역산업 기반 인재 양성(83억원) △연구지원센터 건립(60억원) △정주 환경 조성(140억원) △문화콘텐츠 활성화 사업(7억5천만원)을 지원한다.
도는 1시·군-1대학-1특성화(기업) 연계를 통한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 연구지원센터 조성을 추진한다. 또 기업 종사자와 학생들의 정주환경 조성을 위해 셰어 하우스 및 청년 레지던스, 임대주택 등도 조성한다.
특히 지방시대 선도모델 확산을 위해 항공 MRO(항공기 정비)와 항공 물류 등 항공산업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 신규로 'K-U시티 플러스 프로젝트'도 추진한다.
의성 공항신도시와 연계하는 이 프로젝트는 관련 기업 맞춤형 인력양성을 위한 공동캠퍼스 조성, 명품 주거단지 조성, 교육 및 문화공간 조성 등이 핵심이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경북도가 선도적으로 추진 중인 K-U시티 프로젝트를 통해 청년이 지역에서 배우고 일하고 결혼해 누리고 살 수 있는 청년 지방정주시대를 반드시 실현하겠다"고 강조했다.
임성수기자 s018@yeongnam.com

임성수
편집국 경북본사 1부장 임성수입니다.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