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닫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
    밴드
  • 네이버
    블로그

https://m.yeongnam.com/view.php?key=20240625010003365

영남일보TV

"영세한 대구 침산공업지역을 스마트로봇 혁신지구로"

2024-06-26

총사업비 80억원 투입, 로봇 부품 제조 중심 업종전환 중

인근 제3산단과 연계해 로봇 주요 부품 국산화 추진 목표

영세한 대구 침산공업지역을 스마트로봇 혁신지구로
대구지식산업센터 조감도. 대구시 제공

1천60곳(2022년 대구시 실사조사)의 영세한 기업이 밀집한 대구 북구 침산공업지역이 '스마트로봇 혁신지구'로 거듭나고 있다. 대구시는 올해까지 혁신을 완수하고, 향후 인근의 제3산업단지와 연계해 로봇 주요 부품 국산화까지 추진할 계획이다.

대구시는 25일 스마트로봇 혁신지구 조성 2차년도 사업에 본격 돌입한다고 밝혔다. 다음달 26일까지 '수용맞춤형 로봇솔루션 개발지원 사업' 신규 참여기업을 모집할 예정이다.

스마트로봇 혁신지구 조성 사업은 작년부터 올해 말까지 2년간 총사업비 80억원(국비 40억원, 시비 40억원)을 투입한다. 수요맞춤형 로봇솔루션 개발지원사업과 공동 활용 스마트제조 플랫폼 구축, 친환경 공동 인프라 구축, 디지털 마케팅 지원사업 등으로 구성했다.

수요맞춤형 로봇솔루션 개발지원 사업은 앵커기업·로봇 SI기업이 침산공업지역 내 기업과 협력하도록 지원한다. 산업 현장에 실적용할 수 있는 솔루션을 연구개발하고, 이를 실제 적용까지 하는 것이 목표다.

지난해 대구시는 총 11건의 프로젝트를 선별해 최근 완료했다. 주요 성과로는 <주>한성(수행기업)과 <주>코윈(공급기업)의 협력을 들 수 있다. 이들은 글로벌 자동차 부품 청정도 확보를 위해 고효율 로봇 솔루션을 개발, 적용한 결과 생산성 600% 증대, 불량률 10%→1%로 감소하는 결과를 냈다.

또, 에스포텍이 개발한 6축 협업로봇 활용 틀니용 인공치아 포장 공정 자동화 시스템을 도입한 하셈은 생산성 140% 향상과 불량률 0%(5%p↓) 달성을 만들었다. <주>동우글로벌이 제작한 자동차 부품 접착제 도포 로봇 솔루션 역시 <주>삼성알엔티의 생산성 127% 상승, 불량률 0%(0.5%p↓)를 도왔다.

영세한 대구 침산공업지역을 스마트로봇 혁신지구로
대구 침산공업지역 비전 및 추진체계. 대구시 제공

대구시는 올해 9건의 프로젝트를 발굴해 연구개발, 기술 지도, 컨설팅 등에 최대 1억원을 지원할 예정이다. 2차년도 프로젝트의 경우 1차년도에 비해 사업 기간이 짧아 대구시는 내년 2월까지 기한을 연장할 방침이며, 필요 시 최대 내년 4월까지 추가로 여유를 부여할 계획이다.

아울러 대구시는 침산동 대구지식산업센터 내 공동제조 플랫폼을 조성해 로봇부품 제작 장비 18종, 24대를 구축하고 있다. 지난해 3D프린터, 5축 가공기 등을 설치했고, 올핸 기업수요가 많은 적층제조 장비, 3차원 형상획득 장비 등 5종, 6대를 구축한다. 장비는 경북대 산학협력단 소속 전문인력이 맡이 시제품 개발 등 활용법을 지원하게 된다.

또, 친환경 에너지 플랫폼을 기반으로 에너지 사용량 및 탄소배출 절감을 위한 '에너지 절감 시스템 지원(3억6천만원)'과 연구개발된 성과물 및 기업 홍보를 위한 '디지털 마케팅 지원(1억원)' 사업도 함께 실시한다.

최운백 대구시 미래혁신성장실장은 "스마트로봇 혁신지구 조성 사업의 철저한 시행을 통해 침산공업지역의 첨단기술 기반 제조 스마트화와 더불어 로봇 주변부품 생산기지로의 구조고도화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최시웅기자 jet123@yeongnam.com

기자 이미지

최시웅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경제 인기기사

영남일보TV

부동산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