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발전 위해 규제보다 혁신이 필요" 응답도 과반 넘어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인공지능의 안전, 신뢰 및 윤리'를 주제로 대국민 설문 조사를 진행한 결과 응답자 57%는 잠재적 이점이 위험보다 많다고 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6월 12일부터 한 달간 '인공지능의 안전, 신뢰 및 윤리'를 주제로 대국민 설문 조사한 결과를 7일 발표했다. 국민 765명이 참여한 이번 설문에서 응답자 57%가 AI 기술의 잠재적 이점이 위험을 넘어선다고 했다. 23.7%는 '반반이다', 19.1%는 '잠재적 위험이 더 크다'고 답했다.
응답자가 꼽은 AI의 가장 큰 이점과 위험은 각각 '일상생활 편의성 향상(30.6%)'과 '오작동으로 인한 피해(18.5%)'였다. 이 외에도 업무 추진의 효율성 증진(19.6%), 산업 현장의 생산성 혁신(16%) 등 경제활동에서의 이점이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반대로 악의적 의도로 AI를 활용할 경우의 피해(18.3%)와 개인정보 유출, 프라이버시 침해(16.3%) 등을 우려했다.
응답자 절반 이상(55.2%)은 안전한 AI 발전을 위해 규제보다 혁신이 중요하다고 답했다. 규제와 혁신 모두 중요하다는 중립적 의견을 낸 응답자는 15.9%였으며, 28.9%는 규제가 더 중요하다고 판단했다.
다만, 안전한 AI 발전에 가장 중요한 정부 정책으로는 '인공지능법 제정 및 윤리기준 마련(34%)'이 꼽혔다. 일상생활과 경제활동에서의 이점을 극대화하기 위해 오작동, 악의적 활용, 개인정보 유출 등 위험 요소를 잠재울 규제 마련을 기대하는 심리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이번 설문조사는 전체 응답자 중 남자는 426명(55.7%), 여자는 339명(44.3%)이며, 연령대는 30대가 266명(34.8%)으로 가장 많았다.
한편, 과기부는 '인공지능의 안전, 신뢰 및 윤리'를 주제로 정책 아이디어 공모전을 진행한 결과 '구체적 사례 기반의 AI 윤리 브리프 발간 및 홍보'를 제안한 정도범·유화선 씨(최우수상) 등 6개 팀이 수상했다고 밝혔다.
과기부는 8~9월 '디지털 접근성 강화'를 주제로 집중 공론화에 돌입할 계획이다.
송상훈 정보통신정책실장은 "AI 시대에 디지털 기기·서비스 접근 및 활용의 차이가 경제적 격차로 이어질 것으로 예측되는 만큼 활발한 논의가 필요하다"면서 "새로운 디지털 질서를 정립하는 데 가장 중요한 것은 국민의 적극적인 참여"라고 했다.
최시웅기자 jet123@yeongnam.com

최시웅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