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닫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
    밴드
  • 네이버
    블로그

https://m.yeongnam.com/view.php?key=20240819000944262

영남일보TV

[시도때도없는 뉴스08.19]대구 응급환자 대전 이송?…대구시 "근거 없는 허위사실"

2024-08-19 09:45



1.대구 응급환자 대전 이송?…대구시 "근거 없는 허위사실"

대형 온라인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퍼진 대구지역 응급의료 대란설은 사실과 다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8일 '펨코' '뽐뿌' '디시인사이드' 등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현재 난리 났다는 대구 상황'이라는 제목으로 대구지역 응급실 운영 상황 등을 우려하는 게시글이 동시다발적으로 올라왔습니다. 대구시는 해당 게시글이 근거 없는 허위 사실이라고 반박했습니다. 현재 대구지역 5개 대학병원 응급실은 모두 정상 운영 중입니다. 지난달 1일부터 지난 15일까지 119구급대 환자이송 1만1천576건 중 대전 이송 실적은 단 한 건도 없었습니다. 광역상황실을 통한 전원 역시 대전지역 이송 실적은 전무했습니다.


2. 경북도 통합 특별법안 공개...“청사 두 곳 유지...특별법 절차 주민투표 가닥”

경북도는 18일 총 6편 272개 조문으로 구성된 TK특별법안을 공개했습니다. 통합청사는 현행 시·도 청사 두 곳으로 유지하는 내용을 명시했습니다. 대구시가 내놓은 대구·경북·동부 등 3개 청사와 차이가 있습니다. 청사 문제는 공무원 조직은 물론 인근 시·군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어 통합 과정에서 최대 쟁점으로 떠오를 전망입니다. 경북도는 또 각 시·군·구에 대한 자치권을 현재보다 더 강화하겠다는 입장입니다. 통합 특별법 제정 절차에서도 주민투표로 가닥잡고 있습니다. 경북도는 이날 법안을 공개하며 통합 협의를 위한 전문가, 지역민 대표 등이 참여하는 공동추진단 구성을 제안했습니다.


3. 실경뮤지컬 왕의 나라 시즌Ⅲ ‘전회 만석’ 기록...대단원의 막

실경 뮤지컬 왕의 나라 시즌Ⅲ '나는 독립군이다'가 초연에도 전회 만석을 기록하며 대단원의 막을 내렸습니다. 왕의 나라는 2011년과 2017년에 이어 2024년 시즌Ⅲ로 일제의 총칼 앞에 굴하지 않고 당당히 맞선 독립운동가 권세연·이만도·이상룡·김동삼·류인식·김용환·김락·남자현·이육사 선생 등과 이름 없는 '안동 영웅들'의 이야기로 극의 감동을 더했습니다. 매공연 시작 1시간 전부터 입장객의 줄이 수백 미터 이상 늘어지며 입장권이 일찌감치 동났습니다. 공연 중간중간 펼쳐지는 불꽃 쇼와 공연 대미를 장식하는 불꽃놀이는 관람객들의 뜨거운 함성과 함께 시선을 압도했습니다.


4. 2심에서도 “달성군, 동물화장장 불허 처분 위법” 판결

법원이 1심에 이어 2심에서도 대구 첫 동물화장장 건립 사업을 불허한 지자체의 처분이 위법하다는 판단을 내렸습니다. 대구고법 행정1부는 동물화장장 건축업자 A씨가 달성군을 상대로 제기한 '건축불허가 처분 취소' 소송 항소심에서 피고 측 항소를 기각했습니다. A씨는 지난해 1월 대구 달성군 현풍읍 일대에 지하 1층, 지상 1층 규모의 동물화장장을 건립하기 위해 달성군에 건축 관련 인허가 절차를 밟았습니다.


5. “경북도청 앞 공원 박정희 동상 건립” 추진위 국민모금 시작

경북도청 앞 공원에 박정희 전 대통령 동상을 건립하기 위한 국민 모금이 시작됐습니다. 박정희 대통령 동상건립 추진위원회는 지난 17일 대구 수성구 한 호텔에서 1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모금 운동 출범식을 가졌습니다. 추진위는 박 전 대통령 탄신 107주년인 오는 11월 14일 경북도청 앞마당 '천년의 숲'에 높이 8.5m 규모의 동상을 건립할 계획입니다. 추진위 측의 국민모금 목표액은 30억 원입니다. 지난해 11월 추진위원회 출범 이후 지금까지 경북지역 22개 시·군 등 각 지역에서 자발적으로 모인 성금만 10억 원에 가깝다고 추진위는 밝혔습니다.


6. 대구시-디지스트, 온 디바이스 AI 연구개발 거점 프로젝트 추진

 대구가 기기 내장형 인공지능 즉 온 디바이스 AI 연구개발 거점지로 도약하기 위한 여정을 시작합니다. 대구시와 디지스트는 대구를 기반으로 한 AI 연구거점 프로젝트를 추진하기로 뜻을 모았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크게 AI 연구거점 구축, 국제공동연구, 글로벌 연구역량 및 산·학 모델 구축으로 나뉩니다. 작게는 수성알파시티 내 센터 구축에서, 크게는 디지털 혁신거점 조성 사업과 연계하는 방안까지 염두에 두고 있습니다. 지역에 정보통신기술 및 로봇산업 인프라가 풍부하고, 앞다퉈 대구로 집결중인 팹리스와의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한 것입니다.




기자 이미지

김용국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영상 인기기사

영남일보TV

부동산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