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익성 낮은 사업 정리 개편
2차전지 소재 밸류체인 집중
코팅재 공급 등 협력은 지속
포스코퓨처엠이 OCI와 합작해 세운 피앤오케미칼 지분을 전량 매각했다. 업계에서는 이번 지분 매각이 포스코 그룹 차원의 구조조정의 일환으로 보고 있다.
포스코퓨처엠은 26일 오후 이사회를 열고 피앤오케미칼 지분 51%를 합작사인 OCI에 전량 매각하는 내용의 안건을 의결했다고 밝혔다.
OCI도 이날 오후 이사회를 열고 지분 51% 인수 안건을 통과시켰다.
이에 따라 OCI는 포스코퓨처엠과 주식 매매계약을 체결하고 포스코퓨처엠이 보유한 피앤오케미칼 지분 전량을 약 536억원에 인수하기로 했다. 피앤오케미칼은 매매계약 체결 이후 기업결합심사를 거쳐 OCI의 자회사로 최종 편입될 예정이다.
피앤오케미칼은 2020년 7월 포스코퓨처엠과 OCI가 각각 51%, 49% 지분을 투자해 만든 합작 회사다. 2022년 연산 5만t 규모의 과산화수소 생산 설비를 준공해 반도체 공정에 사용되는 전자급 고순도 과산화수소를 생산하고 있으며, 작년 하반기에는 2차전지 음극재의 코팅 소재인 고연화점 피치(석탄이나 석유를 정제할 때 만드는 탄소 물질) 생산 공장을 완공해 현재 시운전 중이다.
포스코퓨처엠은 피치 생산을 통해 양극재에 이어 음극재 원료, 중간 소재, 최종 제품 생산에 이르는 '밸류체인' 완성을 목표했다.
하지만 피앤오케미칼은 지난해 671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하는 등 경영 실적이 크게 나빠졌다.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둔화)'에 따른 배터리 분야 부진까지 겹쳐 수익성이 악화한 것이다.
이에 포스코퓨처엠의 이번 매각은 저수익 사업 매각을 통한 구조조정의 일환으로 분석하고 있다.
포스코그룹은 장인화 회장 취임 이후 그룹 차원에서 수익성 낮은 사업 등을 정리하는 구조 개편을 추진해왔다. 철강 업계에서는 포스코퓨처엠이 이번 매각을 통해 약 1천500억원의 재무 개선 효과를 거둘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포스코퓨처엠은 이번 지분 인도를 계기로 불필요한 사업 분야를 정리하면서도 2차전지 소재 밸류체인을 탄탄하게 구축하는 데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OCI도 중장기적 관점에서 2차전지 소재 사업 강화에 박차를 가할 전망이다. OCI는 지난 6월 전북 군산에 2차전지 실리콘 음극재 생산에 필요한 특수소재 공장을 착공하는 등 해당 분야 투자를 늘리고 있다. OCI는 이번 지분 매각·인수 후에도 핵심 원재료인 제철 부산물을 포스코그룹으로부터 안정적으로 공급받고, 피앤오케미칼은 흑연 음극재의 코팅재인 고연화점 피치를 포스코퓨처엠에 공급하는 등 협력 관계를 지속하기로 했다.
포스코퓨처엠 관계자는 "그룹 차원의 구조개편 일환으로 지분 매각이 이뤄졌다. 또한, 양·음극재 사업에 역량을 집중하기 위한 결정"이라고 밝혔다. 김기태기자 ktk@yeongnam.com
포스코퓨처엠은 26일 오후 이사회를 열고 피앤오케미칼 지분 51%를 합작사인 OCI에 전량 매각하는 내용의 안건을 의결했다고 밝혔다.
OCI도 이날 오후 이사회를 열고 지분 51% 인수 안건을 통과시켰다.
이에 따라 OCI는 포스코퓨처엠과 주식 매매계약을 체결하고 포스코퓨처엠이 보유한 피앤오케미칼 지분 전량을 약 536억원에 인수하기로 했다. 피앤오케미칼은 매매계약 체결 이후 기업결합심사를 거쳐 OCI의 자회사로 최종 편입될 예정이다.
피앤오케미칼은 2020년 7월 포스코퓨처엠과 OCI가 각각 51%, 49% 지분을 투자해 만든 합작 회사다. 2022년 연산 5만t 규모의 과산화수소 생산 설비를 준공해 반도체 공정에 사용되는 전자급 고순도 과산화수소를 생산하고 있으며, 작년 하반기에는 2차전지 음극재의 코팅 소재인 고연화점 피치(석탄이나 석유를 정제할 때 만드는 탄소 물질) 생산 공장을 완공해 현재 시운전 중이다.
포스코퓨처엠은 피치 생산을 통해 양극재에 이어 음극재 원료, 중간 소재, 최종 제품 생산에 이르는 '밸류체인' 완성을 목표했다.
하지만 피앤오케미칼은 지난해 671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하는 등 경영 실적이 크게 나빠졌다.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둔화)'에 따른 배터리 분야 부진까지 겹쳐 수익성이 악화한 것이다.
이에 포스코퓨처엠의 이번 매각은 저수익 사업 매각을 통한 구조조정의 일환으로 분석하고 있다.
포스코그룹은 장인화 회장 취임 이후 그룹 차원에서 수익성 낮은 사업 등을 정리하는 구조 개편을 추진해왔다. 철강 업계에서는 포스코퓨처엠이 이번 매각을 통해 약 1천500억원의 재무 개선 효과를 거둘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포스코퓨처엠은 이번 지분 인도를 계기로 불필요한 사업 분야를 정리하면서도 2차전지 소재 밸류체인을 탄탄하게 구축하는 데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OCI도 중장기적 관점에서 2차전지 소재 사업 강화에 박차를 가할 전망이다. OCI는 지난 6월 전북 군산에 2차전지 실리콘 음극재 생산에 필요한 특수소재 공장을 착공하는 등 해당 분야 투자를 늘리고 있다. OCI는 이번 지분 매각·인수 후에도 핵심 원재료인 제철 부산물을 포스코그룹으로부터 안정적으로 공급받고, 피앤오케미칼은 흑연 음극재의 코팅재인 고연화점 피치를 포스코퓨처엠에 공급하는 등 협력 관계를 지속하기로 했다.
포스코퓨처엠 관계자는 "그룹 차원의 구조개편 일환으로 지분 매각이 이뤄졌다. 또한, 양·음극재 사업에 역량을 집중하기 위한 결정"이라고 밝혔다. 김기태기자 ktk@yeongnam.com
김기태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