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전기차 보급 실적 부진, 캐즘(Chasm) 수치로 확인돼
`20~`23년 대구 평균 112.2%, 경북은 86.1%…올핸 계획치 못 미칠듯
![]() |
최근 전기차 화재가 잇따르자 지하주차장에 있던 전기차 충전소가 지상에 설치되거나 옮겨지고 있다. 영남일보DB |
최근 5년간 국내 전기차 보급 실적이 애초 정부 계획에 크게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5월 말 기준 계획에 따른 실적 달성률은 고작 한 자릿수에 그쳤다. 광역지자체 중 '모범생'에 속하던 대구와 경북지역 실적 달성률도 2022년을 기점으로 하락세로 돌아섰다. 전기차 시장의 '캐즘 현상(일시적 수요 정체)'이 수치로 드러나고 있는 셈이다.
25일 국회 예산정책처 자료를 보면 지난해 신규 등록된 전기차는 17만760대로 같은 해 정부 보급계획 물량의 60.3% 수준에 머물렀다. 올해 들어서도 지난 5월까지 계획 대비 실적 달성률은 4.29%에 불과했다.
2020~2022년에도 전기차 신규등록 대수가 환경부 보급계획을 넘어선 해는 없었다. 연도별 실적률은 2020년 61.7%, 2021년 97.15%, 2022년 78.97%였다.
대구와 경북지역 전기차 보급 실적도 최근 눈에 띄게 줄었다. 대구는 지난해 목표치를 초과 달성(101.1%)했으나 전년(137.41%) 대비 30%포인트 이상 빠졌다.
올해 실적도 8월 기준으로 55.99%에 그치고 있다.
경북도 매한가지다. 2022년 91.4%의 달성 실적을 보인 뒤 2023년 74.7%로 감소했다. 올해(8월 기준)도 40%를 채 넘기지 못하고 있다. 현 추세로는 대구와 경북 모두 실적 달성이 힘들 전망이다.
환경부 측은 "전기 승용차의 경우 수요가 일시적으로 위축되고, 전기 이륜차는 주 소비층이 구매하도록 이끌 유인책이 부족해 수요가 감소했다"고 말했다.
전기차 시장의 혹한기는 당분간 더 심화할 전망이다. 지난 7월 인천 청라국제도시 아파트 지하주차장 내 전기차 화재로 '위험성'이 대두된 것이 수요 정체의 결정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충전기 확충에 차질이 빚어지는 점도 전기차 보급에 장애물로 지목된다. 정부는 지난 6일 발표한 전기차 화재 안전관리 대책에 기존 건물에 전기차 주차구역·충전시설 보유 의무 규정 시행을 1년 유예하는 방안을 담았다.
![]() |
대구경북 전기차 보급 계획 및 실적. 대구시·경북도 제공 |
![]() |
정부 전기차 보급계획 및 실적. <국회 예산정책처 제공> |
전기차 충전기를 늘린다는 목표엔 변함이 없다고 했지만, 구체적인 대안은 제시하지 않고 있다. 보조금 지원 범위·단가 감소도 전기차 보급 확대의 걸림돌이다. 환경부는 내년도 예산안을 편성하며 전기 승용차와 화물차 1대당 보조금 단가를 올해보다 100만 원씩 낮췄다.
신유준 계명대 자동차공학과 교수는 "보조금과 충전 인프라 모두 수요에 영향을 줄 것이다. 해답은 결국 기술발전이다"라며 "지금까지 전기차 생산과 양산에 집중했다면, 이제부터는 전기차 안전 기술을 발전시켜야 할 시기"라고 조언했다.
이동현기자 shineast@yeongnam.com

이동현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