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금 대한민국 언론계에선 이른바 '네생네사'라는 말이 회자된다. '네이버에 살고 네이버에 죽는다'라는 뜻이다. 거대 뉴스 포털사이트인 네이버의 손아귀에 잡혀 있는 국내 언론의 처지를 두고 하는 말이다. 지방의 시각에서 더 큰 문제는 상당수 지역 언론이 네이버로부터 소외 당하고 있다는 점이다. 국민의힘 최형두 의원이 공개한 국감 자료에 따르면 네이버 뉴스콘텐츠제휴(이하 CP)사 87곳 중 지역 매체는 12곳에 불과하다. 이는 지방의 다양한 이슈와 관점을 배제해 지역 간 정보 불균형과 여론 왜곡을 심화시키는 결과를 낳는다. 지방화시대에 가당치도 않은 일이다.
사실 그동안 CP사 심사를 맡은 '제휴평가위원회(이하 제평위)'에 대한 불공정성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 비중이 높은 정성 평가에서 제평위 위원들의 주관적·자의적 판단이 작용한다는 의심을 받아왔다. 위원 간 평가 점수 편차가 큰 데다 평가의 객관성도 담보되지 않았던 것. 많은 지역 언론사는 CP사 지정을 받기 위해 혼신을 다하지만, 매번 '희망 고문'으로 끝났다. 어떻게 평가됐는지, 무엇이 부족해 탈락했는지에 대한 피드백도 전혀 받을 수 없었다. 이런 심사마저도 현재 장기간 중단돼 있어 기존 CP사들만 특혜를 누리고 있는 셈이다.
네이버가 며칠 전 국감에서 "제평위 개선을 논의 중이며, 연내 결과물을 내놓겠다"고 밝혔다. 향후 새로운 제평위에선 반드시 인구 규모를 감안(지역 안배)한 매체 심사가 이뤄져야 한다. 특히 지역 매체는 해당 지역 내 영향력을 비롯해 지명도, 역사, 발행 부수(신문)·시청률(방송)도 꼼꼼히 비교해 평가할 필요가 있다. 석연치 않은 심사로 억울하게 탈락하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함이다.
사실 그동안 CP사 심사를 맡은 '제휴평가위원회(이하 제평위)'에 대한 불공정성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 비중이 높은 정성 평가에서 제평위 위원들의 주관적·자의적 판단이 작용한다는 의심을 받아왔다. 위원 간 평가 점수 편차가 큰 데다 평가의 객관성도 담보되지 않았던 것. 많은 지역 언론사는 CP사 지정을 받기 위해 혼신을 다하지만, 매번 '희망 고문'으로 끝났다. 어떻게 평가됐는지, 무엇이 부족해 탈락했는지에 대한 피드백도 전혀 받을 수 없었다. 이런 심사마저도 현재 장기간 중단돼 있어 기존 CP사들만 특혜를 누리고 있는 셈이다.
네이버가 며칠 전 국감에서 "제평위 개선을 논의 중이며, 연내 결과물을 내놓겠다"고 밝혔다. 향후 새로운 제평위에선 반드시 인구 규모를 감안(지역 안배)한 매체 심사가 이뤄져야 한다. 특히 지역 매체는 해당 지역 내 영향력을 비롯해 지명도, 역사, 발행 부수(신문)·시청률(방송)도 꼼꼼히 비교해 평가할 필요가 있다. 석연치 않은 심사로 억울하게 탈락하는 일이 없도록 하기 위함이다.

논설실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