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닫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
    밴드
  • 네이버
    블로그

https://m.yeongnam.com/view.php?key=20241009010001051

영남일보TV

[창간 79주년 특집] 대구 신산업 담을 '기회의 땅'…최도심 부동산 판도 바꿀까

2024-10-11

미래 50년 성장동력 '군부대 이전 프로젝트' 본격 가동

[창간 79주년 특집] 대구 신산업 담을 기회의 땅…최도심 부동산 판도 바꿀까

대구시내 마지막 '기회의 땅'이 열린다. K2 군 공항 종전부지 개발과 함께 향후 대구 미래 50년을 좌우할 성장동력인 군부대 이전 프로젝트가 본격적인 막을 올렸다. 이전 대상에 포함된 군부대는 미군을 포함해 7개소 6.61㎢(200만평) 규모에 달한다. 분지 지형으로 외부 확장성이 제한된 대구에서 군부대 이전은 생기 잃은 도시에 활력을 불어넣고, 미래 먹거리를 품은 신성장 거점 탄생을 기대하게 한다. 또 변화하는 안보 환경에 맞춰 새로운 민·군 상생 모델을 제시한다는 점도 의미가 있다. 대구 군부대 이전에 대구경북은 물론 전국적 관심이 집중되는 이유다.

민선8기 홍준표 시장 공약사업
2035년까지 이전 완료 청사진

총 7개 부대 주둔 중
도시 단절 초래 발전 가로막아
수성구 만촌동 2작사 옮겨가면
도심 첨단산업 용지 부족 해소

숲세권에다 학군·학원도 포진
주택 개발땐 매력적인 선택지
'범4만3'급 新주거 중심지 기대
전국 부동산업계 관심 한몸에

[창간 79주년 특집] 대구 신산업 담을 기회의 땅…최도심 부동산 판도 바꿀까◆군부대와 '헤어질 결심'

대구 도심 군부대 이전사업은 민선 8기 홍준표 대구시장의 공약사항이다. 대구는 과거 섬유도시로 영광을 누렸지만, 신산업 전환에 뒤처지며 쇠락의 길을 걸었다. 지난 30여 년간 GRDP(지역 내 총생산)가 줄곧 전국 17개 광역단체 중 꼴찌 수준이다.

홍 시장은 과거 전국 3대 도시였던 대구의 옛 명성 회복과 함께 100년 미래 발전의 토대 마련을 위해선 5대 신산업(UAM·반도체·로봇·헬스케어·ABB)을 담아낼 공간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그 첫 공간이 K2 군 공항 부지(210만평)이며, 두 번째 공간이 바로 군부대 이전부지(200만평)다.

대구는 전국 특별·광역시 중 군부대 주둔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이다. 주둔 부대가 1~2개 수준인 다른 지자체와 달리 대구에는 K2 공군 기지를 비롯해 육군 제2작전사령부, 50사단사령부, 5군수지원사령부, 공군방공포병학교 등 5개 국군부대와 캠프워커·캠프헨리·캠프조지 등 3개 미군 부대까지 총 8개 부대가 주둔하고 있다. 이들이 차지하는 공간만 약 410만평, 축구장이 1천400개 가까이 들어갈 수 있는 큰 규모다.

이런 상황에서 K2 공군 기지와 육군 제2작전사령부 등 동쪽에 포진한 군부대의 존재는 도시 발전을 가로막는 큰 장애물이었다. 남구는 도심을 반으로 가른 미군 부대 탓에 도시 기능 연결성이 단절됐으며, 수성구 역시 국군부대 주둔에 따른 첨단산업 용지 부족 현상을 겪고 있다. 국방부에서도 최근 인구절벽에 따른 병력 감소로 안보적 차원의 부대 통합 및 재배치를 추진하면서 대구 군부대 이전은 시대적 과제로 떠올랐다.

◆국군 2030년, 미군 2035년 이전

대구시는 민선 8기 시작과 함께 군부대 이전 전담부서를 구성하고, 국방·군사시설사업 경험자를 배치하는 등 사업 추진 기반 구축에 나섰다. 국방부와 초기 협의 단계부터 국장급 관·군 협의체를 운용함으로써 복잡한 의사결정 구조를 대폭 줄였다.

이 같은 협력관계를 바탕으로 시는 2022년 12월 사전 이전 협의요청서를 국방부에 제출했으며, 지난해는 국방부와 대구 군부대 이전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하는 성과를 거뒀다. 국방부가 대구 군부대 이전에 동의하고, 함께한다는 선언적 의미다.

올해는 대구 군부대 유치를 희망하는 4개 지자체(군위군·상주시·영천시·의성군)를 대상으로 여러 가지 검토와 평가를 거쳐 최적 이전지를 선정한다. 이전지가 선정되면 관련 세부계획을 수립해 내년 국방부와 기부대양여 사업 합의 각서를 체결한다. 이후 2026년 본격적인 사업 시행에 착수해 2030년까지 군부대 이전사업을 완료한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미군 부대 이전은 조금 더 복잡하다. 국방부 외 주한미군과도 소통·협력해야 하는 부분이기 때문이다. 시는 작년 3월 국방부에 대구 내 미군 부대 3개소에 대한 이전을 요청했다. 국방부는 외교부를 통해 주한미군에 공식적으로 대구시의 입장을 전한 상태다.

현재 주한미군은 미 국무부로부터 미군 부대 이전에 대한 협상 권한을 위임받는 절차(C-175)를 진행 중이다. 시는 작년 11월 국방부, 주한미군과 사전 실무회의를 열어 미군 부대 시설 소요·비용 사전 판단을 요청하는 등 이전사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시는 내년 미군 부대 이전 전제조건인 협상 권한 위임 승인 및 주둔군지위협정(SOFA) 과제 채택을 완료하고, 본격적인 미군 부대 이전 협상을 시작해 2035년까지 이전을 마칠 방침이다.

◆최도심 '범4만3' 구도 깨지나

대구 군부대 이전에 부동산 업계도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군부대 후적지들이 대부분 대구 도심에 위치하고 있어서다. 특히 육군 제2작전사령부는 대구의 강남으로 불리는 수성구, 그중에서도 최도심인 만촌동에 자리해 소위 '범4만3(범어4동·만촌3동)'으로 대변되는 대구 부동산 판을 뒤흔들 '메기'로 평가받는다.

만촌동은 대구에서 주거 선호도가 가장 높은 지역으로, 1.27㎢(40만평)에 달하는 2작사 부지가 풀리면 수성구는 물론, 대구 부동산 시장 전반에 걸쳐 긍정적인 신호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군부대 이전부지들이 대부분 산과 인접한 점도 '자연'을 중시하는 최근 주거 트렌드(숲세권)와 맞아 떨어진다는 분석이다.

이진우 부동산자산관리연구소장은 "2작사 부지는 수성구 핵심지에 입성을 원하지만, 가격 때문에 망설였던 사람들에게 매력적인 선택지가 될 것으로 본다. 결국 범어4동·만촌3동까지는 아니더라도 다음 레벨인 범어3동이나 수성2·3가동에 버금가는 새로운 주거 중심지로 거듭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만, 사업 진행 방식에 따른 우려도 있다. 대구 군부대 이전은 기부대양여 방식으로 추진된다. 후적지 개발로 사업비를 충당해야 하는데, 대구경북신공항 사례처럼 사업성이 담보되지 않을 경우 특수목적법인(SPC) 구성 등 사업 진행에 차질을 빚게 된다. 사업성을 올리고자 주택 위주로 개발하면 난개발도 우려된다.

윤대식 영남대 명예교수(도시공학과)는 "가죽 공장이 즐비한 낙후된 구도심에서 숲 개발과 함께 핵심지로 떠오른 서울 성수동 모델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 대구시도 당장 수익성이 나진 않더라도 장기적인 플랜을 갖고, 앵커 및 기반시설을 확보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이승엽기자 sylee@yeongnam.com
기자 이미지

이승엽 기자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경제 인기기사

영남일보TV

부동산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