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운홍기자〈사회3팀〉 |
경북 북부의 깊은 산골에 위치한 영양군. 산업화 시대가 시작되면서 젊은 인구가 대도시로 빠져나간 결과 영양군은 점차 쇠퇴의 길을 걷게 됐다. 지속적인 인구 감소는 결국 지방 소멸의 위기를 초래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영양군은 다양한 정책을 내놓으며 돌파구를 찾고 있다. 그중 하나가 2023년 12월 유치에 성공한 양수발전소 건설 사업이다. 150여 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건설 공사로 인한 숙박·식당 등 지역 경제 활성화 효과도 기대된다. 지난달 24일부터 업무를 시작한 영양소방서는 106명의 상주 직원이 근무하며 정주 인구 증가의 전환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귀농·귀촌을 장려하기 위한 정주형 작은 농원과 체류형 전원마을 조성 사업도 주목할 만하다. 영양읍과 청기면에 추진되는 이 사업은 주거와 소득을 결합한 새로운 정착 모델로 귀농·귀촌 희망자들에게 실질적인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출향인과 은퇴자를 겨냥한 이 모델이 영양군의 특색을 살린 인구 유입 전략으로 자리 잡을지 관심이다. 결혼과 출산 장려 정책도 강화됐다. '결혼비용 지원사업'은 부부 각각 300만 원씩 총 600만 원으로 확대됐다. '청년부부만들기 사업'은 기존 1회 500만원 지급에서 3년간 총 1천500만원으로 늘어났다. '출산장려금' 역시 첫째는 월 20만원, 둘째는 월 30만원, 셋째는 5년간 월 40만원으로 기존 대비 2배 확대됐다. 결혼과 출산에 대한 경제적 부담을 줄여 젊은 세대의 정착을 유도하려는 정책이지만, 실질적인 효과로 이어질지는 지켜봐야 한다.
아동복지 정책도 눈에 띈다. 영양군 드림스타트는 취약계층 아동과 가족을 위한 맞춤형 통합서비스를 제공한다. 올해부터는 아동과 함께하는 통합 프로그램을 도입해 정서적 교류와 또래 협력을 강화한다. 오도창 영양군수는 "대규모 인구 증가는 현실적으로 어려울 수 있지만, 출향인이 돌아오고 싶은 고향을 만들고, 지역에서도 충분히 아이 키우기 좋은 환경을 조성한다면 인구 감소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 것"이라며 "결혼과 출산에 대한 부담을 덜어주고 아이들이 행복한 영양군을 만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인구 감소 문제는 영양군뿐만 아니라 경북 북부 대부분의 지자체가 마주한 과제다. 하지만 많은 지역이 현실과 동떨어진 탁상행정에 머무르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영양군의 정책이 단순한 지원책에 그치지 않고, 실질적인 인구 유입과 정착으로 이어질 수 있을지 앞으로의 행보가 주목된다.
정운홍기자〈사회3팀〉

정운홍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