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닫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
    밴드
  • 네이버
    블로그

https://m.yeongnam.com/view.php?key=20250424028572178

영남일보TV

1분기 한국 경제 성장률 -0.2% 역성장…한은 전망치 크게 밑돌아

2025-04-24

민간소비·건설투자 부진이 성장률 끌어내려
한은 연간 성장률 1.5% 달성도 ‘먹구름’

1분기 한국 경제 성장률 -0.2% 역성장…한은 전망치 크게 밑돌아

분기별 경제성장률 추이. <한국은행 제공>

올해 1분기(1∼3월) 한국 경제가 내수 부진으로 세 분기만에 역성장했다.

한은은 1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직전분기대비·속보치)이 -0.2%로 집계됐다고 24일 밝혔다. 지난 2월 한은의 공식 전망치(0.2%)보다 0.4%포인트(p) 낮은 것이다.

분기 성장률은 지난해 1분기 1.3%를 나타냈지만, 2분기 -0.2%까지 하락했다. 그해 3·4분기 모두 0.1% 수준에 머물렀고, 올해 1분기 다시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다.

한은은 저성장 국면이 계속되고 있는 것과 관련해 건설투자와 민간소비 등 내수 부진을 주 요인이라고 판단했다. 국내 정치 불확실성 장기화와 미국 관세 정책 여파로 인한 통상환경 불확실성 확대가 소비와 투자 심리 회복을 지연시켰다고 분석했다.

1분기 성장률을 부문별로 보면, 민간소비가 오락문화·의료 등 서비스 소비 부진으로 직전 분기보다 0.1% 감소했다. 정부소비도 건강보험 급여비 지출이 감소해 0.1% 줄었다.

특히 국내외 경기 불확실성 영향으로 투자가 둔화했다. 건설투자는 건물건설을 중심으로 3.2%나 줄었고, 설비투자도 반도체 제조용 장비 등 기계류가 줄어 2.1% 축소됐다. 설비투자의 1분기 성장률은 2021년 3분기(-4.9%) 이후 3년 6개월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었다.

수출도 화학제품·기계·장비 등이 줄면서 1.1% 감소했다. 다만 수입도 원유·천연가스 등 에너지류 중심으로 2.0% 줄었다.

1분기 성장률에 대한 부문별 기여도를 보면, 건설투자와 설비투자가 각 -0.4%p, -0.2%p를 기록해 성장률 하락에 영향을 미쳤다.

내수와 순수출(수출-수입)을 살펴보면, 소비와 투자를 포함한 전체 내수 성장기여도는 -0.6%p, 순수출의 성장 기여도는 0.3%p였다.

경제활동별로는 전기·가스·수도업이 가스·증기·공기조절 공급업을 중심으로 7.9% 증가했다. 어업 호조로 농림어업도 3.2% 늘었다.

반면 제조업은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기계·장비 등 위주로 0.8% 감소했다. 건설업도 건물건설을 중심으로 1.5% 줄었다.

서비스업은 금융·보험·정보통신업 등은 늘고, 운수업·도소매·숙박음식업은 줄면서 전분기 수준을 유지했다.

이에 올해 연간 경제 성장률도 한국은행이 당초 예상한 1.5%보다 크게 낮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한은은 올해 연간 성장 경로에 불확실성은 여전하지만, 2분기엔 내수가 회복되면서 성장률이 높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1분기 실질 국내총소득(GDI)도 지난해 4분기보다 0.4% 감소했고, 전년 동기에 비하면 0.1% 줄었다.


기자 이미지

최미애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경제 인기기사

영남일보TV

부동산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