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닫기

  • 페이스북
  • 트위터
  • 네이버
    밴드
  • 네이버
    블로그

https://m.yeongnam.com/view.php?key=20250428010002558

영남일보TV

교황 장례식 엄수 "잘 가요, 프란치스코" 전세계 40만명 애도 속 영면

2025-04-28
교황 장례식 엄수 잘 가요, 프란치스코 전세계 40만명 애도 속 영면
프란치스코 교황의 장례 미사가 26일 오전 10시(현지시각) 바티칸 성 베드로 광장에서 거행됐다. 연합뉴스
'가난한 자의 성자'로 불린 프란치스코 교황의 장례 미사가 전세계 40만명의 추모 행렬 속에 마무리됐다.

프란치스코 교황의 장례 미사는 26일 오전 10시(한국시각 오후 5시) 바티칸 성 베드로 광장에서 엄수됐다. 교황이 지난 21일 선종한 지 닷새 만에 열린 이날 미사는 교황이 잠든 목관을 성 베드로 대성전에서 광장의 야외 제단으로 운구하며 시작됐다. 교황의 유언대로 목관은 아무런 장식 없이 십자가 문양만 새겨져 있었고, 그 위로 복음서가 놓였다. 미사는 입당송과 기도, 성경 강독, 성찬 전례, 고별 예식 순으로 약 2시간가량 진행됐다. 장례 미사가 끝난 뒤 교황의 관은 장지인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전으로 운구됐다.

성베드로 광장서 2시간여 거행
트럼프 등 130개국 대표단 참석
산타마리아 마조레 대성전 안장
바티칸 외부에 묻힌 건 122년만
이르면 내달 6일부터 콘클라베


◆전세계 40만명 조문 속 영면

이날 미사에는 교황을 사랑한 일반 시민 등 약 25만명의 인파가 성 베드로 광장과 주변 일대를 가득 메웠다. 운구 행렬에는 15만명이 참석하는 등 조문객 규모는 최소 40만명에 달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 등 전 세계 130여국 대표단이 그의 마지막 길을 배웅했다. 한국 정부도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을 단장으로 한 민관합동 조문사절단을 파견했다.

미사를 주례한 조반니 바티스타 레 추기경단 단장은 "그는 소외되고 작은 이들에게 특별한 관심을 기울였다"며 "모든 이에게 마음을 연 민중의 교황이었다"고 추모했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대부분 전임 교황이 묻힌 성 베드로 대성전 지하 묘지 대신, 평소 즐겨 찾던 로마 테르미니 기차역 인근의 산타 마리아 마조레 대성전을 장지로 택했다. 교황이 바티칸 외부에 묻히는 건 1903년 레오 13세 이후 122년 만이다. 이날 미사를 시작으로 오는 5월4일까지 이어지는 '노벤디알리'로 불리는 9일간의 애도 기간에는 성 베드로 광장에서 매일 추모 기도회가 열린다. 교황의 무덤은 27일부터 일반에 공개됐다.

교황 장례식 엄수 잘 가요, 프란치스코 전세계 40만명 애도 속 영면
유인촌(왼쪽)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26일(현지시각) 프란치스코 교황의 장례미사를 마친 후 유흥식 추기경과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콘클라베 이르면 내달 6일 시작

차기 교황을 뽑는 콘클라베(Conclave·추기경단 비밀회의)는 이르면 다음 달 6일 시작될 전망이다.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콘클라베는 이르면 내달 6일 시작될 예정이다. 교황이 선종한 뒤 15∼20일 사이에 콘클라베를 개시해야 한다는 규정을 근거로 대다수 외신은 내달 6일에서 11일 사이에 콘클라베의 막이 오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교황 선종 전날 기준 만 80세 미만인 135명의 추기경들이 콘클라베 첫날 오후 한 번, 이튿날부터는 매일 두 차례, 따로 후보를 정하지 않은 채 3분의 2 이상 득표자가 나올 때까지 투표를 거듭한다. 콘클라베 절차 준비는 이미 시작됐다. 추기경단은 프란치스코 교황 선종 이튿날인 지난 22일 첫 일반 회의를 열어 콘클라베까지 일정과 실무 계획, 이슈, 우선순위, 주목할 인물 등을 논의했다. 이 일반 회의는 투표권이 있는 추기경 135명 대부분이 로마에 집결하는 28일 열리는 다섯 번째 회의부터 본격적으로 이어져 하루 두번씩 열린다. 이 회의는 추기경들이 서로를 탐색하고 어젠다와 인물의 카리스마 등을 가늠하는 콘클라베만큼이나 중요한 선거의 장이 될 것으로 보인다. NYT는 "다음 일주일 동안 진영이 더 선명해지고, 유력한 후보가 부상하거나 추락할 것"이라고 관측했다.
박주희기자 jh@yeongnam.com
기자 이미지

박주희

기사 전체보기

영남일보(www.yeongnam.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문화 인기기사

영남일보TV

부동산

많이 본 뉴스